닫기
216.73.216.29
216.73.216.29
close menu
Lymphoma 분류 및 적용의 이해
송혜정 , 신원섭 , 김용철 , 김기성 , 김수성
UCI I410-ECN-0102-2017-510-000606577
이 자료는 4페이지 이하의 자료입니다.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구매가 불가능한 자료입니다.

배 경 일반적으로 암종의 진단에서는 종양의 세포형, 종양침윤의 범위, 림프절 침범여부와 정도, 혈관, 림프관, 신경의 침범 여부등을 중요하게 적용되지만 림프종에 있어서는 이러한 적용보다는 WHO 새로운 분류에 맞추어 진단하고자 할때 어느 범위까지 면역염색을 시도하여야 하는지, 이러한 면역염색이 정확한 진단에 얼마나 도움을 줄수 있는가에 대한 명확한 정보를 제공되고 있지는 않다. 그리하여 본 필자는 현재 WHO의 분류방법을 알아보고 림프종 분류를 위해 사용하고 있는 면역항체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림프종이란 전신의 림프절 혹은 림프기관(비장, 편도선, 위 등)에서 발생하는 암을 호즈킨 병(Hodgkin`s disease)와 비호즈킨 림프종(non-Hodgkin`s Lymphoma)으로 대별됩니다. 비호즈킨 림프종은 단일한 질병이 아니라 병리소견, 면역형, 임상양상이 다른 이질적인 여러 림프종을 포함하는 질병군이며, 호즈킨 병은 리드-스턴버그 세포(Reed-Sternberg cell)가 많은 비종양성 염증 세포를 동반하여 침윤하는 것이 비호즈킨 림프종과의 중요한 차이점이며 임상소견 및 치료에서도 비호즈킨 림프종과 다르다. 호즈킨 병(Hodgkin`s disease)와 비호즈킨 림프종(non-Hodgkin`s Lymphoma)의 발생비율을 살펴보면 우리나라는 비호즈킨 림프종이 절대다수를 차지하며 호즈킨 림프종은 악성림프종의 약 5%밖에 되지 않는데, 서구에서는 호즈킨 림프종의 빈도가 비교적 높아 악성림프종의 4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림프종의 분류는 불과 2-3년 전만 해도 WHO분류가 충분히 알려지지 못하였고, 과거의 NCI working formulation의 분류와 REAL classification의 진단을 기재하는 양식이 가장 주된 병리 결과 분류이었다. REAL classification이 임상적, 유전학적 검증의 단계를 거쳐 병리의사들에게 재현성이 인정되면서, 전세계적인 합의를 이루어 기존의 WF, Kei, REAL에 의한 분류방식을 대치하게 되었다. 따라서 림프종 진단의 기본분류는 WHO분류(2001, WHO blue book)를 사용하고 있다. 결 론 국내에서는 악성림프종 진단을 위해 여러 가지 항체를 이용하여 림프종을 분류하고 있는데, 이는 H&E염색 슬라이드만으로 는 분류가 곤란하여 다양한 항목의 면역염색을 통해서 WHO분류법에 의해 분류를 하게 됩니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