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 경 : 현장현시에는 heparin, protamine의 monitoring을 위하여 ACT(활성응고시간)의 측정을 한다. 이 측정은 celite나 kaolin 등의 화학물질이 첨가되어 있는 ACT용 tube를 사용하여 hemochron 이라는 측정 장치로 응고 시간을 측정하여 임상에서 바로 결과 확인을 통하여 환자처치를 한다. SMC에서는 중환자 실, 투석실, 수술장, 혈관조영실 등에 13개 사이트 총20대 장비를 운영하게 검사를 실시한다. 신형 HEMOCHRON® Response Whole Blood Coagulation System(ITC, USA) 7대를 도입에 따라 POCT시스템을 구축하여 통합관리를 인한 효과적인 검사관리와 검사의 질 향상을 높이고자함에 있다 방 법 : HEMOCHRON® Response 기기에 환자등록번호, 검사자 아이디, 바코드 스캔을 한 후 HRFTCA510 Tube에서 Flesh Whole blood을 2 mL 넣은 후 기기에 넣고 Start KEY 누른 후 검사 실시하였다. 검사한 결과는 기기 serial 포트에서 TCP/IP conversion기기를 통하여 서버로 전송되고, TCP/IP 통하여 중앙검사실의 서버로 전송되었다. 서버에서 serial로 연결된 interface PC를 통하여 원내 LIS/HIS로 전송하였다. 결 과 : ACT검사의 POCT 시스템을 구축으로 인하여 많은 장비와 사용자를 중앙에서 통합 관리함 으로서 검사의 질 향상을 도모 할 수 있다. 또한 전산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LIS/HIS에서의 EMR연동으로 검사결과관리가 용이해 지면서 사용자 만족도가 증대하고 검사실측면에서는 처치수가에서 검사수가로 전환되므로 검사실 수입의 증대와 수가누락방지를 통한 병원의 경제성 제고에 큰 기여를 할 수 있다. 정도 관리 부분에서는 ACT검사의 Electronic QC 관리를 통하여 장비상태 체크가 가능해 지면서 검사결과 신뢰도가 한층 더 높아졌다. 이에 비용 효율성과 임상적인 유용성으로 본다면 중앙검사실에서의 ACT검사의 POCT 관리가 반드시 필요하다. 고 찰 : 국내에서도 POCT에 대한 관심과 인식변화로 매 해마다 발전을 거듭해 오고 있다. 그 동안은 주로 ABGA, Glucometer, Cardiac 위주의 POCT 구축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이미 미국이나 일본에서는 ACT 검사도 POCT 검사 영역으로 중요한 포지션을 차지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현장 in vitro 검사는 중앙검사실의 적극적인 역할을 통하여 POCT로 시스템을 구축해야 하며 이를 위하여 현장검사위원회 활동이나 협회차원의 제도적 장치 마련이 시급하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