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멜라닌 Pigment 표백법
경보호 , 윤정희 , 김영혜 , 심미나 , 소선기
UCI I410-ECN-0102-2017-510-000482146
이 자료는 4페이지 이하의 자료입니다.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구매가 불가능한 자료입니다.

배 경 : 멜라닌(melanin)은 멜라노사이트(melanocyte) 내의 소기관인 멜라노좀(melanosome)에서 합성되며, 최초에 멜라노좀의 골격이 형성, 그 골격에 tyrosinase가 먼저 배열되고 이어 멜라닌의 생합성이 행해진다. 이런 과정을 통해 생성된 멜라닌 색소는 피부조직에 정상적으로 존재한다. 병리 진단을 위해 면역조직화학(immunohistochemistry) 염색을 실시할 경우 조직절편에 내재하는 멜라닌 색소와 DAB에 의한 갈색 양성반응과 혼동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 양자를 식별하기위해 보통 행해지는 방법이 멜라닌 색소 표백법이다. 각종 참고서에 소개된 멜라닌 색소 표백법은 멜라닌 색소가 완전히 제거되지 않거나, 면역조직화학염색 시 배경 염색을 초래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언급된 문제를 최소화는 멜라닌 색소 표백법을 찾고자 하였다. 방 법 : 악성 흑색종을 진단하기 위해 면역조직화학염색(HMB-45)을 실시한 조직 중에 멜라닌 색소 제거가 필요한 조직을 선별하여 두 가지 방법으로 표백(각종 참고서에 소개된 방법과 본원의 방법)을 실시한 후 H&E 염색과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진행시켜 염색상을 비교해 보았다. 먼저 문헌에 소개된 방법(방법1)을 이용하여 탈 파라핀이 끝난 조직절편을 0.25% potassium permanganate 수용액에 10분 이상 산화한 후 수세하고, 5% oxalic acid 수용액에 5분간 조직 절편을 무색으로 환원하여 표백하였다. 비교할 방법은 본원에서 고안한 방법으로(방법2) 탈 파라핀이 끝난 조직절편을 멜라닌 색소 표백액(H2O2 4 mL + ammonia water 4 drop)에 36℃에서 4분간 반응 시킨 후 충분히 수세하여 표백하였다. 이 두 방법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및 고찰 : 두 방법을 실시한 후 진행시킨 H&E 염색과 면역조직화학염색(HMB-45)상 비교 결과 멜라닌 pigment의 제거는 방법 2가 방법 1보다 좀 더 깨끗이 제거되었으나 큰 차이는 없었다.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실시한 결과 방법 1은 배경 염색이 심하게 발생하는 반면에 방법 2는 배경 염색이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악성흑생종이나 모반의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실시할 때 멜라닌 색소의 제거를 하는 경우가 있으나, 항원성에 대한 영향을 고려해야 한다. 면역조직화학염색 시 permanganic acid, axalic acid의 사용을 금하는 참고서도 있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