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혈액에서 분리된 Staphylococcus pettenkoferi sp. nov. 1례
진선경 , 이미영 , 권혜린 , 장호은 , 송상훈 , 박경운 , 송정한
UCI I410-ECN-0102-2017-510-000481018
이 자료는 4페이지 이하의 자료입니다.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구매가 불가능한 자료입니다.

배 경 : Staphylococcus pettenkoferi는 그람 양성구균으로 통성혐기성, 비운동성, 비아포형성균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i(CNS)의 일종이다. 5년 전에 처음으로 인체에서 분리되어 전 세계적으로 5례만이 보고된 신종균으로서 아시아에서는 첫 사례이기에 저자들은 최근에 혈액배 양에서 분리된 S. pettenkoferi sp. nov. 1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증 례 : 폐결핵(pulmonary tuberculosis)이 재발하여 입원한 76세 환자로 2쌍의 혈액배양이 의뢰되었다. 배양된 균을 도말 염색한 결과 두 쌍 모두 그람 양성 포도상 구균이 관찰되었고, 계대배양 후 혈액한천배지에서 직경 1~15 mm의 노란색 집락을 형성하였으며 catalase 양성, coagulase 음성의 소견을 보여 한 균주가 단독으로 분리 배양됨을 알 수 있었다. 균주의 동정과 항균제 감수성 검사는 MicroScan Walk A way 96 System(Dade Behring, West Sacramento, CA, USA)과 VITEK 2 System (bioMerieux, Marcy-l`Etoile, France)을 사용하였다. WalkAwayPos Combo 1A panel에서는 각각 S. hominis subsp. hominis (92.35%), S. auricularis (99.03%)로 동정되었고, VITEK2 Gram Positive ID card에서는 S. auricularis (90.40%)와 S. capitis (50.28%), S. warneri (49.72%)로 동정되었다. 항균제 감수성 결과 oxacillin, penicillin, rifampicin, clindamycin, ciprofloxacin, erythromycin 내성이었고 chloramphenicol, gentamicin, trimethprim/sulfamethoxazole, tetracycline, teicophnin, vancomycin 감수성이었다. 분자유전학적 검사로 16S rDNA 염기서열분석을 한 결과 MicroSeq 에서는 S. caprae (99.36%), S. cohnii(97.8%), S. hyicus (96.94%)로 동정되었으며, GenBank에서는 S. pettenkoferi (100%), S. pseudolugdunensis (100%)로 동정되었다. Ornithine decarboxylase 검사에서 음성 소견을 보여 최종적으로 S. pettenkoferi로 동정하였다. 환자는 vancomycin 치료를 받은 후 혈액배양에서 더 이상 균이 분리되지 않았으며 현재 다제내성 결핵(multiple drug resistance tuberculosis)으로 치료 중이다. 고 찰 : S. pettenkoferi는 사람 피부에 상재하며 거의 질병을 일으키지 않지만 면역 기능이 저하된 환자에게서 기회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유럽의 경우 환자의 혈액배양에서 분리된 바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또한 최근에는 당뇨병 환자의 발에 감염되어 골수염을 일으킨 원인 균으로 지목된 만큼 생화학적 검사로 동정되지 않는 CNS가 분리되는 경우 S. pettenkoferi의 가능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되어 보고하는 바이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