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 경 건강 진단 후 의학 판정 결과 당장은 임상적 조치를 취할 필요가 없으나 질병 발생 위험도가 높아 일정 기간 후 결과를 관찰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될 때 혈액 재검사와 위험도 감소를 위한 생활지도를 하는 예방 의학적 추구관리를 받게 된다. 그 중 혈액 검사 결과를 건진 결과와 비교하여 건강 검진 추구 관리의 현황과 의의를 밝히고자 하였다. 방 법 2007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혈액 추구 재검사를 받은 20 대에서 70 대까지 다양한 연령의 수진자들의 분포와 현황을 조사하고, 건진 혈액 검사 결과와 추구 혈액 재검사 결과 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결 과 2년 간 추구 관리 대상자는 여자보다는 남자가, 연령대는 40 대와 50 대가 가장 많았다. 항목별로는 가장 많이 추구 검사가 시행된 항목은 혈지질(lipid profile)이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간기능, 갑상선, 공복시 혈당, 당화혈색소 순이었다. 대부분의 항목에서 추구 검사의 결과가 감소하였으며, 특히 지질과 간기능에서 감소율이 높았다. 고 찰 건강진단프로그램에서의 건강 교육과 생활지도를 통한 추구 관리가 수진자의 생활습관을 개선시킬 수 있고, 추구 혈액 재검사의 유용성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