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Background): Alkaline phosphatase (ALP)는 pH 9~10.5에서 최적 활성을 나타내며 인산모노에스터(phosphomonoester)의 가 수 분해를 촉매하는 효소로서 거의 모든 조직에서 광범위하게 존재하며 콩팥, 소장, 뼈, 태반, 간 등에서 활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Robinson이 성장기에 있는 소아의 뼈에서 처음 발견하였고, Kay가 뼈 질환에서 혈청 ALP의 활성이 높아지는 것을 연구하여 뼈 질환의 진단에 이용하였으며, 현재 ALP의 활성은 주로 뼈 질환과 간담도 질환에 적용되고 있다. 혈청 ALP의 생리적 변동이 성장기 소아에 높고 성인의 3~4배까지 상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소아 청소년의 연령에 따른 ALP의 활성 변동이 크게 나타남에도 불구하고 연령에 따른 참고치에 대한 자료는 미흡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0세 이상 20세 미만 소아청소년의 연령과 성별에 따른 혈청 ALP의 활성치를 살펴봄으로써 참고치 설정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Materials and Methods): 2011년 1월부터 12월까지 시행된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검진을 시행한 10세 이상 20세 미만 대상자 중 간, 뼈, 신장 질환 검사에서 이상 소견을 보인 대상자를 제외하고 건강한 소아청소년 847명(남 443명, 여 404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시행하였다. 혈청 Alkaline phosphatase는 Pureauto S ALP (Sekisui, Japan) 시약을 사용하여 Hitachi 7600 (Hitachi high-technologies Co., Tokyo, Japan) 자동화학 분석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연령과 성별에 따른 혈청 ALP의 활성치를 살펴보기 위해 연령별 백분위수를 구하였고, 성별간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자료에 대한 통계분석은 SPSS 17.0 (SPSS, Inc., Chicago, IL, USA)을 사용하였으며, 결과 해석 시 유의수준은 p<0.05로 하였다. 결과(Results): 전체 남아의 평균은 671 IU/L, 여아의 평균은 473 IU/L로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p<0.05). 남아의 경우 혈청 ALP의 평균치는 12-13세에서 1,007 IU/L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 13-14세에 962 IU/L 로 높게 나타났다. 여아의 경우 평균치는 11-12세에서 894 IU/L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 10-11세에 878 IU/L 로 높게 나타났다. 10-11세, 11-12세를 제외한 모든 연령군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p<0.05). 성인의 혈청 ALP 수준으로 감소하는 시기는 남아의 경우 17세 이후였으며, 여아의 경우 14-15세에 평균340 IU/L 였으며, 이후 꾸준히 감소하였다. 결론(Conclusions): 본 연구에서 10세 이상 20세 미만 소아청소년의 혈청 ALP의 참고치 설정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연령과 성별에 따른 활성치를 살펴보았다. 혈청 ALP의 활성은 성별·연령별 변화 양상이 다르므로 성인의 활성치와 달리 연령 또는 연령군별로 따로 설정되어야함을 알 수 있었으며 본 연구에서 포함되지 않은 10세 이하 소아청소년의 자료를 보완하여 전체 소아청소년의 데이터를 구축하면 추후 임상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