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 ABO discrepancy는 혈액형 검사시 cell typing과 serumtyping의 결과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를 말한다. 이때 혈액형 검사는 ABO discrepancy의 문제가 해결 될 때까지 결과해석이 지연되어지고 수혈환자의 경우 수혈시간이 지연되는 경우를 초래한다. 그러므로 검사실에서는 ABO discrepancy의 원인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해결 할 수 있는 방법을 숙지하고 그 경험을 공유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되어진다. 이에 저자는 연전현상(Rouleaux Formation)에 의한 ABO discrepancy 경험을 소개하고자 한다. 증례: 45세 여성 pituitary adenoma 환자로 ESR 검사수치는 113mm/h, 항체선별검사(Bio-Rad, ID-DiaCell I & II, Switzerland)negative였다. 혈액형검사는 tube법으로 진행하였다. celltyping(millipore murine IgM) Anti-A: 2+, Anti-B: 2+, Anti-A1: 2+,Anti-AB: 2+, Anti-D: 4+, serum typing(자가제조)A Cell: 2+, B Cell:2+, Auto: 1+로 ABO discrepancy가 나타났다. 항체선별검사가 Negative이고 ESR결과가 비정상적으로 높아 serum typing을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연전현상(Rouleaux Formation)을 의심하였고 Saline replacement법을 이용하여 이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이후 환자검체(cell)를 washing하고 환자검체(serum)를 Saline과 1:3희석하여 검사를 다시 진행하였다. 결과는 Cell typing Anti-A: 2+,Anti-B: 2+, Anti-A1: 2+, Anti-AB: 2+, Anti-D: 4+, Serum typing ACell: -, B Cell: -, Auto: - 로 나타났다. 결론: 연전현상(Rouleaux Formation)와 agglutination를 구분하기위해서 saline replacement법을 이용하였다. 생리식염수 치환 후 응집이 사라짐을 확인하였고 연전현상(Rouleaux Formation)를 판단할 수 있었다. ABO discrepancy 는 여러 가지 원인들이 있지만 연전현상(Rouleaux Formation)에 의한 원인은 cell typing과 serumtyping 양쪽에 모두 문제가 될 수 있다. 재검사함에 있어 serumtyping 뿐만 아니라 cell typing까지 다시 검사하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생각되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