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8
216.73.216.28
close menu
시간경과에 따른 채혈용기 별 PBMC수와 Viability변화
서은희 , 하기원 , 진성권 , 김영진 , 김윤태
UCI I410-ECN-0102-2017-510-000492462
이 자료는 4페이지 이하의 자료입니다.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구매가 불가능한 자료입니다.

배경: 연구용 목적으로 수집하여 banking되는 체액들은 혈청, 혈장, 뇨, DNA, PBMC등이 있다. 이중 PBMC (peripheral blood mononuclearcell)시료는 추후 LCL (lymphoblastoid cell lines) 제작이 가능하며, DNA, RNA추출을 통한 유전체 분석 등 다양한 연구에 활용할 수 있다. PBMC는 초저온냉동으로 보관 후 해동하여 다른 시료로 제작되기 때문에, 동결당시의 cell수와 viability는 분리 당시의 혈액 상태와 채혈후 경과 시간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현재 PBMC분리에 사용되고 있는 채혈용기는 CPT tube, ACD tube, EDTA tube가 있다. 각기 다른 채혈용기에 채혈된 혈액으로부터 분리된 PBMC의 cell수와 viability가 시간경과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실험을 통하여 비교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실험에 사용된 검체는 정상인이라고 생각되는 남,녀7명(A, B, C, D, E, F, G)을 선정하였고, 각각 CPT tube, ACD tube, EDTA tube를 3개씩 채혈하여 총 63개의 검체를 준비하였다. 첫 번째로 각기 다른 조건의 21건은 histopaque을 사용하여 PBMC를 분리 한 후, trypan blue로 염색하여 hemacytometer로 cell수 와 viability를 측정하여 control로 사용하였다. 두 번째는 남은 42건 중21건은 채혈한지 24hrs이 경과된 후 PBMC를 분리하여 cell수와 viability를 측정하였고, 21건은 48hrs이 경과된 후, 위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을 시행하였다. 결과: 평균 PBMC수는 채혈 직후에 CPT tube는 6.8~10.4 ⅹ106개, ACD tube는 7.0~11.0 ⅹ106개, EDTA tube는 7.7~11.4 ⅹ106개로 측정되었다. 채혈용기 별로 cell수는 CPT tube는 24hrs, 48hrs에서 각각 14.5%, 38.4%, ACD tube는 24hrs, 48hrs에서 각각 14.2%, 34.1%, EDTA tube는 24hrs, 48hrs에서 각각 5.6%, 13.4%의 비율로 감소하였다. 평균 viability의 경우 채혈 직후에 CPT tube는 88.8%, ACD tube는 94.3%, EDTA tube는 97.7%로 측정되었다. 채혈용기별로 평균 viability는 CPT tube는 24hrs, 48hrs에서 각각 81.7%, 77.6%, ACD tube는 24hrs, 48hrs에서 각각 93.2%, 87.2%, EDTAtube는 24 hrs, 48hrs에서 각각 96.4%, 95.3%로 감소하였다. 또한 같은 경과 시간 동안 viability는 CPT tube와 ACD tube에서 EDTAtube 보다 크게 감소하였다. 결론: 본 실험을 통하여 분리 시간 경과 시 채혈용기 종류에 따라 PBMC수와 viability에 미치는 영향을 알 수 있었다. 실험결과, 채혈용기 별로 24hrs이내의 PBMC수 및 viability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48hrs에서 CPT tube와 ACD tube는 EDTA tube보다 급격하게 감소함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24hrs이내에 PBMC분리를 할 경우 채혈 용기의 따른 영향은 없었으나, 48hrs경과 후 cell수와 viability는 채혈 용기에 따라 결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위에 실험을 바탕으로 banking에 가장 적합한 채혈용기는 EDTA tube임을 알 수 있었으며, 24hrs이내에 분리를 하는 것이 고품질의 PBMC 시료를 제작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 된다. 채혈용기에 따라 결과가 차이나는 명확한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으로 실험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