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 PBMCs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안에는 면역체계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많은 면역 세포들이 존재하며, 주로 인간 및 여러 동물군의 면역 실험과 연구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혈액으로부터 원심 분리하여 얻은 PBMCs는 차후의 면역 모니터링분석에 매우 중요한 첫 단계로 여겨진다. Density gradientseparation에 의한 Histopaque-1077(SIGMA-ALDRICH) 시약을 사용하는 방법과 CPT(BD Vacutainer)를 이용하는 방법 비교를 통해 실험 방법간의 차이가 PBMCs 분리 후 cell 회수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실험은 Histopaque와 CPT 2가지 방법으로 진행되는데, 우선 동일한 donor로부터 EDTA tube와 CPT에 각 8 mL씩 채혈하여 채혈 후 2시간 후에 실험을 진행하여 PBMCs만을 분리하여 혈액 속 면역 세포들을 순수하게 획득한다. 결과: 실험 결과 Histopaque을 이용한 PBMCs 분리는 14.4×106cells/10 mL, CPT 이용한 분리는 8.3×106 cells/10 mL 결과를 얻어Histopaque를 이용한 PBMCs 분리방법이 보다 높은 cell 회수율을 보여주고 있다. CPT 방법은 Histopaque 방법보다 1.8% 높은Viability와 8.9% 낮은 RBC Contamination 결과를 보였다. 결론: Histopaque을 이용한 PBMCs 분리방법은 실험과정에서 Histopaque-1077와 plasma 사이의 PBMCs layer(liquid interface)를 조심스럽게 pipetting하여 회수해야 하는 과정에 많은 know-how가 필요하고, 이 과정에서 RBC 오염이 높게 나타날 수 있는 가능성이 크다는 단점이 있다. 대신 CPT 를 이용한 PBMCs 분리방법은 Histopaque을 이용한 방법보다 다소 cell 회수율은 떨어지지만, 추가적인 시약이나 tubes 사용없이 single tube system으로 쉽고 빠르게 mononuclear cells만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사용자들이 보다 편리하게 PBMCs를 분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