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 경 매독검사는 screenmg검사로써 거의 비특이적인 방법인 RPR card를 사용하나 reasin을 검출하는 검사는 급성폐렴이나 말라리아, 임신, 간염과 같은 바이러스 질환 등에서도 반응을 보이기 때문에 매독이 아니어도 반응을 나타낸다. RPR card 검사는 빠른 시간내 간편하게 검사할 수 있는 장점은 있지만 이러한 위양성 반응 때 문에 매독 진단에 어려움을 겪는다. 이에 본 검사실은 매독 검사 중 비특이적인 방법인 RPR 검사와 특이적인 방법인 TPHA 검사를 병행하여 RPR card의 위양성률을 조사함으로써 RPR 검사시 오류를 최소화 하고 매독진단에 있어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검사방법과 원리 Non-Treponemal test RPR card-cardiolipin-lecitin 항원을 흡착시킨 carbon입자를 매독 환자의 혈청에 가하면 혈청 중에 존재하는 reagin과 반응하여 응집이 일어난다. Treponemal test TPHA -Treponema pallidum의 균체성분을 적혈구에 흡착시킨 후 이 감작 적혈구를 매독 환자의 혈청 중에 가하면 적혈구에 흡착된 균체성분과 환자의 혈청 중에 존재하는 TP에 대한 항체가 반응해서 응집이 일어난다. FTA-ABS-Treponema pallidllm의 균체성분으로 된 균주 부유액 항원을 slide위에 도말하여 건조시키고 그 위에 환자 혈청을 도말하여 반응시킨 다음에 여기에다 형광색소를 표지한 anti human v-globulin이 반응하고 이것을 형광현미경의 자외선 아래서 관찰하면 TP가 있는 곳에 형광을 발산하고 있는 것을 관찰한다. 고 찰 이와 같이 RPR card에서 양성반응이 나왔다고 하여 모두가 다 매독 환자는 아니라는 것을 알 수가 있다. 그러므로 RPR검사 시 양성반응을 보이면 곧바로 매독을 진단하지 말고 반드시 확증검사인 Treponemal test 인 TPHA 나FTA-ABS 검사를 통해 매독을 확증하여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