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소변에서의 Albumin/Creatinine Ratio 검사 소개
배애영 , 김명수 , 송운흥
UCI I410-ECN-0102-2017-510-000498742
이 자료는 4페이지 이하의 자료입니다.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구매가 불가능한 자료입니다.

배경 당뇨병의 여러 합병증 중의 하나인 당뇨병성 신증은 세계적으로 만성 신부전의 가장 많은 원인 중의 하나이다. 우리나라 역시 매년 그 비율이 증가하여 1997년 전체 투석 환자의 34%를 차지하였으며 현재는 거의 60%를 차지할 정도로 급증되고 있다/ 그로 인해 당뇨병으로 야기된 신장질환은 정확한 진단을 위하여 정밀검사가 필요하게 되었고 검사법의 발달로 Microalbuminuria를 쉽게 감지할 수 있게 되었으며 당뇨병 환자들에서 나타날 수 있는 신장기능의 손상기능의 손상에 대한 지표로서 인정되고 있다. 특히 당뇨병성 신증의 위험성이 높은 당뇨병 환자들은 Microalbuminuria 단계에 이르면 신증을 예방하기에 늦으므로 Microalbuminuria가 출현하기 전 철저히 관리되어야 한다. 본원에서는 초기 당뇨병성 신증의 조기 진단과 치료에 유용한 선별 검사로써 random urine으로 albumin/ creatinine ratio 검사를 시행하고 있다. 방법 Integra 800 장비를 이용해 microalbumin은 turbidimetric method로 creatinine은 Jaffe reaction method로 검사하고 있다. 계산방법으로는 microlbumin, creatinine 값을 각각 산출하여 A/G ratio 값을 구한다. 계산식: mg/dL microalbumin---------mg/dL creatinine x 1,000 = A/G ratio ㎎/g(㎍/㎎) 결과 일반적으로 정상인을 대상으로 검사한 결과 A/G ratio 의 참고치는 30.0 이하 ㎍/㎎ Cr을 보였고 그 이상 일 때 임상적으로 의미가 있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연속해서 반복 검사를 시행했을 때 참고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24시간 요를 채취하여 creatinine clearance(Ccr) 검사를 시행한다. 고찰 Urine microalbumin 및 creatinine 검사는 urinary microalbumin의 persistent elevation(30-3000 mg/24hrs)은 있으나 routine urinalysis 또는 Dipstick test에서 detection 되지 않을 경우에 유용하며 당뇨 및 신장 질환의 환자들에게 있어 renal failure risk를 찾는 데 좋은 data로 이용되고 있다. Urine 검체 채취과정에 있어 정확하게 채취된 24시간 소변검체로 Albumin/Creatinine Ratio 나 Creatinine Clearance(Ccr) 검사로 그 예민도를 측정 검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외래 환자나 건강진단을 위해 내원한 대상자들에게 Routine 검사로써 24시간 소변 검체를 수집하게 될 경우 수집시간, 검체운반 등 여러 가지 활동 측면에서 많은 불편함과 어려움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개체 내 단백 배설속도가 50-100%에 이를 정도로 높은 것을 감안해볼 때 random urine(수시뇨)으로 검사해도 무방하리라 본다. 따라서 random urine으로 albumin/creatinine ratio 검사가 당뇨병성 신증의 조기 진단과 치료에 선별검사로써 유용하게 쓰이는 검사로 임상에 적극 활용될 수 있기를 권장한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