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3
216.73.216.213
close menu
순음청력검사에 대한 기본적 이해
민미식 , 유선우
UCI I410-ECN-0102-2017-510-000507606
이 자료는 4페이지 이하의 자료입니다.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구매가 불가능한 자료입니다.

배경 : 순음청력검사(pure tone audiometry, PTA)는 청력을 표시하는 데 가장 기본적이고 표준적인 검사방법으로, 골도 및 기도 청력의 역치를 측정하여 이과적 질환의 진단을 위한 청력지표로 사용되고, 이를 토대로 보청기 사용 및 재활 계획에 기본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 1. 기도청력검사 (Air conduction audiometry) : 외이도를 통해서 공기의 진동으로 들어온 음에 대한 피검자의 청력역치를 일정한 도표로 나타낸 것이다. 1) 피검자에게 음이 들리면 응답 button을 누르도록 한다. 2) 검사주파수의 순서: 고음역 - 1000Hz부터 시작하여 2000, 4000, 8000Hz 순으로 다시 1000Hz를 검사한 후에 저음역 - 500, 250, 125Hz의 순으로 측정한다. 3) 주파수의 역치 : 음을 3번 들려주어 2번 들린다고 응답하는 때의 음의 강도 4) 검사는 보통 잘 들리는 귀를 먼저 측정하고 청벽의 차이가 30-35dB이상이면 검사하지 않는 잘 들리는 귀는 차폐(masking) 한다. 2. 골도청력검사 (Bone conduction audiometry) : 골도진동자를 직접 두개골에 대고 진동시켰을 때 들리는 청력으로 내이 및 그 상위의 청각경로의 기능을 반영한다. 1) 골도청력검사는 250, 500, 1000, 2000, 4000Hz만 검사한다. 2) 검사계기의 성능상 보통 65dB이상은 측정하지 않는다. 3) 골도진동자는 대부분 유돌부에 장착하고 검사한다. 4) 골도진동자 장착시 이개(auricle)가 닿지 않도록 주의하고, 피부에 밀착되도록 한다. 결과 : * 청력장애의 정도(degree of hearing loss) Hearing loss (dB) by ANSI(1969) 10 - 26 mormal limites, 27 - 40 mild hearing loss, 41 - 55 moderate hearing loss, 56 - 70 moderately severe hearing loss, 71 - 90 severe hearing loss, over 91 profound hearing loss * 청력장애의 유형(type of hearing loss) - 전음성 난청 : 기도역치가 나쁘고 골도역치는 정상범위 - 감각신경성 난청 : 기도-골도차가 없이 모두 청력이 감소된 경우 - 혼합성난청 : 기도와 골도청력이 모두 떨어져 있으나 기도-골도 차가 15dB이상 일 때 고찰 : 순음청력검사는 순음을 전기적으로 발생시켜 각 주파수에 따라 음의 강도를 조절하여 기도 및 골도청력의 역치를 측정하는 청력검사이다. 따라서 순음청력검사는 가장 기본적이고 표준화된 청력검사로 청력장애 환자의 진단과 치료 및 재활과정에 있어서 필수적인 검사이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