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들을 탐색한 개별 연구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들의 영향력의 크기를 밝혀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1998년부터 2015년도 8월까지 인터넷 중독을 주제로 수행된 개별 연구물들을 수집하여 메타분석을 통해 연구물들의 결과를 통합하여 분석하였다. 최종적으로 총 474편의 개별 연구물들을 메타분석을 위해 선정하였고 이 연구물들로부터 3124개의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전체 효과크기는 .266으로 중간 이상의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둘째, 학교 급별에 따라 효과크기를 측정한 결과 초등학생(ES=.283), 중학생(ES=.240), 고등학생(ES=.266), 대학생(ES=.254), 성인(ES=.233)으로 초등학생, 고등학생, 대학생, 중학생, 성인 순으로 효과크기가 크게 나타났다. 셋째, 인터넷 중독 관련변인들의 효과크기를 비교한 결과 가족체계 변인(ES=.222), 개인 심리적 변인(ES=.276), 사회체계 변인(ES=.252)으로 개인 심리적 변인이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많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상위 25개 하위 유목화에 따른 효과크기를 측정한 결과 불안(ES=.370)이 가장 큰 효과크기를 보였고, 학습동기(ES=-.368), 정신건강문제(ES=.340), 우울(ES=.330), 자기통제(ES=-.325), 사용동기(ES=.320), 충동성(ES=.304) 순으로 높은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본 연구는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을 밝힌 개별 연구들로 종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인터넷 중독에 관한 후속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reveal the effect size of the relevant factors affecting Internet addiction by analyzing meta-analysis which synthesize the existing studies about Internet addiction. To achieve this, this study collected the related studies about Internet addiction from 1998 to August 2015, and integrated and analyzed the outcomes by meta-analysis. Through several screening processes, total 474 papers were selected and effect size of 3,124 from the 474 studies on the factors affecting Internet addiction. To conduct Meta-analysis, the CMA(The software Comprehensive Meta-analysis) was u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factors affecting internet addiction was .266, which showed upper middling effect size. Secondly, the respective effect size using the categorical variables were follows: the measuring result of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published form was journals (ES=.267) and theses (ES=.263), effect size of journals appeared larger. The effect size of the level of school was show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S=.283), middle school students (ES=.240), high school students (ES=.266), university students (ES=.254), adults (ES=.233) in order. Thirdly, the results of Meta-analysis which conducted by dividing the factors affecting Internet addiction were follows: the family system variable (ES=.222), individual psychological variable(ES=.276) and social system variables (ES=.252) influenced on Internet addiction the most as compared with effect size of Internet addiction-related variables. Specifically, anxiety (ES=.370) presented the largest effect size, and study motivation (ES=-.368), mental health problems (ES=.340), depression (ES=.330), self-control (ES=-.325), utilization motivation (ES=.320), impulsivity (ES=.304) were shown in order. Therefore, this study may be able to be utilized as practical materials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for Internet addiction through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individual studies, Also, it is meaningful in looking for effective intervention ways and practices, and may suggest the direction of further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