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82
216.73.216.182
close menu
KCI 등재
OECD 부가가치 기준 교역자료를 이용한 자동차산업 글로벌 생산 네트워크의 특성 분석
An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Global Automotive Production Network using the OECD Trade in Value Added Data
정준호 ( Jun Ho Jeong ) , 조형제 ( Hyung Je Jo )
UCI I410-ECN-0102-2017-320-000508974

본 논문은 세계 자동차산업을 대상으로 2015년판 OECD-TIVA 자료 분석을 통해 구축된 수출품의 해외조달 부가가치 네트워크 특성을 사회네트워크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995-2011년 기간 동안에 생산공정 분업은 EU, NAFTA와 같은 역내 경제블록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세계적인 차원으로 심화되었다. 둘째, 수출품의 부가가치 해외조달 네트워크는 위계적이고 공간적으로 집중되고 평균거리가 짧아지는 좁은 세상 네트워크의 특성들을 보여주었다. 셋째, 자동차산업 글로벌 가치사슬에서 주요 공급자는 소수의 국가들에 불과하지만 중간재의 사용자는 다수의 국가들이다. 가장 핵심적인 해외 부가가치의 공급자들인 미국, 독일, 중국 간에 특징적인 차이가 존재한다. 생산공정 분업이 글로벌 수준에서 전개된 것은 사실이지만 그 이면에 중심과 주변, 국내와 외국자본의 이분법의 긴장이 놓여 있다.

This paper attempts to understand the nature and dynamics of global value chains in the auto industry using the OECD TiVA 2015 edition on the bilateral foreign value added in exports over the period 1995-2011 and employing the techniques of social network analysis such as the computation of network measures and visualization of value added trade flows. It is shown that there has been a tendency towards increasing production fragmentation both within and across regions. The automotive valueadded network is found to have small-world properties with a hierarchical, clustered and dense structure. The differences among the US, Germany and China as major suppliers of foreign value added in global automotive value chains are remarkably revealed. Although the fragmentation of production has been developed on a global scale, a dichotomous tension between center and periphery and domestic and foreign capital lies behind it.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