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12
216.73.216.112
close menu
KCI 등재
공동소송적 보조참가와 피참가인의 소취하
Third-Party Intervention in Support of a Party to the Dispute as a Joinder of Parties and Withdrawal of Legal Action by the Primary Party
유병현 ( Byung Hyun Yoo )
법학논총 33권 3호 143-168(26pages)
DOI 10.18018/HYLR.2016.33.3.143.
UCI I410-ECN-0102-2017-360-000549737

공동소송적 보조참가에는 필수적 공동소송에 대한 특별규정이 준용되어, 공동소송적 보조참가인은 필수적 공동소송인에 준하는 지위를 갖는다. 따라서 피참가인 원고는 소송상 불리한 행위를할 때에는 공동소송적 보조참가인의 동의를 얻어야 한다. 그런데 피참가인 원고가 소를 취하하는 행위도 공동소송적 보조참가인에게 불리한 행위로서 그 참가인의 동의를 얻어야 효력이 있는지 문제된다. 본고는 이 문제를 대법원판례의 입장을 분석, 검토하면서 설명하고 있다. 대법원은 소의 취하는 재판의 효력과 관련이 없는 행위이고, 공동소송적 보조참가는 유사필수적 공동소송에 준하는 것이므로 피참가인 원고가 단독으로 소취하를 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이에 대해 원심법원은 소취하는 참가인에게 불리한 행위이므로 원고가 단독으로 소를 취하하는 것은 위법하다고 본다. 이 문제는 필수적 공동소송에 대한 특별규정인 민사소송법 제67조 제1항의 해석과 관련하여, 유리 또는 불리한 행위의 의미가 무엇인지 정확히 파악하여 해결하여야 한다. 여기서 말하는 유리 또는 불리한 행위는 권리관계의 합일확정과 관련하여 유리 또는 불리한 행위를 말한다. 소취하는 여기에 해당하지 않는다. 그리고 피참가인 원소의 소취하권은 소제기권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공동소송적 보조참가가 있다고 제약될 수 없다. 판례가 유사필수적 공동에 의지하여 피참가인 원소의 소취하를 정당화 시키고 있으나, 이는 구조가 다른 것을 같이 놓고 비교하는 것으로서 수긍하기 어려운 것이다.

In so far as the legal validity of the decision delivered in the main proceedings has an effect on the legal relationship existing between the third party intervening in support of a party to the dispute and the opponent, the intervening third party shall be deemed to be the necessary joined party of the primary party in the sense as defined by § 67 Code of Civil Procedure(§ 78 Code of Civil Procedure). Pursuant to § 67 I Code of Civil Procedure, where the legal relationship at issue can be established vis-a-vis all joined parties only uniformly, the procedural acts by anyone of them shall take effect only for the benefits of all such joined parties. The procedural disadvantageous acts should be done by all joined parties together. Because of § 67 Code of Civil Procedure, the intervenor in support of a party to the dispute as a joinder of parties get a status like a necessary joined party. The Korean Supreme Court ruled that the plaintiff may withdraw the action without the consent of the intervenor in support of the plaintiff to the dispute as a joinder of parties. The Court ruled that the disadvantageous act is the only act related to the final judgement effects, and act of withdrawal of legal action is not related to that effects. If an action is withdrawn, the legal dispute is to be considered as not having become pending; any judgment already given that has not yet become final and binding shall become ineffective without this requiring its express repeal. It leaves no harm to the intervenor. I agree this conclusion, but I think that plaintiff’s withdrawal of legal action is not related to the disadvantageous act regulated by § 67 Code of Civil Procedure, because it is not related to the demand of uniformly established legal relationship at issue. I addition, the plaintiff’s legal action withdrawal right could not be restricted by the intervener in support of a party to the dispute as a joinder of parties.

Ⅰ. 서론
Ⅱ. 대법원판결
Ⅲ. 평석
Ⅳ. 맺음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