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혈뇨의 감별진단을 위한 이형적혈구의 형태학적 연구
박정오 , 문희주 , 윤기은 , 윤철종 , 유병길 , 이의혁 , 박준형
UCI I410-ECN-0102-2017-510-000556992
이 자료는 4페이지 이하의 자료입니다.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구매가 불가능한 자료입니다.

전체 성인의 약 4%에서 정도가 차이는 있지만 혈뇨가 있다고 볼 때 이는 주로 신 사구체 및 비뇨기계의 이상이 있을 때 발생하는 것으로 신 사구체질환, 결석, 종양, 바이러스등의 감염으로 혈뇨가 발생할 수 있다. 혈뇨는 육안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것과 현미경으로 적혈구를 관찰함으로 알 수 있는 미량의 혈뇨가 있으나 이들의 경우 양과 관계없이 임상적 의미를 두고 여러가지 질환과의 상관관계를 통하여 발생원인을 알아보는 일이 중요하다. 특히 이들 질환 중에 사구체성 질환과 비 사구체성 질환를 감별하는 것을 요중의 적혈구를 현미경으로 형태학적 이상유무를 관찰하여 이들 칠환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자들은 혈뇨를 동반한 소아과 환자중에서 신 생검조직검사까지 한 5명의 환자에서 혈뇨를 표본제작하여 먼저 위상차현미경적 표본제작법을 통하여 적혈구를 감별하였고 방법을 달리하여 주사형 전자현미경으로 요침사를 관찰하여 형태학적 고찰을 통하여 이형적혈구를 보다 명확한 3차원구조를 관찰할 수 있었다. 침생검을 통해 얻은 조직학적 소견으로는 사구체의 기저막을 통과한 혈구들의 요로를 통하여 배출과정을 광학현미정 및 투과형 전자현미경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육안적 혈뇨의 색은 유출되는 적혈구의 양과 상관관계가 있으며 용혈된 정도가 심한 경우에 콜라색 혈뇨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들 결과에서 본 연구자들은 사구체성 질환을 동반한 유극적혈구 및 환형 적혈구등과 같은 변형된 적혈구를 주사형 전자현미경으로 명확한 관찰을 함으로 사구체성 질환으로 인한 혈뇨의 감별에 주사형 전자현미경이 가장 유용한 검사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