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191.33.20
18.191.33.20
close menu
}
KCI 등재
내적 정서의 주관적 조형화를 통한 화예작품제작 -본인작품 ‘아버지에 대한 기억’을 중심으로-
A Study on Floral Artwork Creation Based on Emotional Motives -Based on the Artist Work ‘In Memory of my Father’-
황선구 ( Hwang Sun Goo ) , 유택상 ( Yoo Taek Sang )
UCI I410-ECN-0102-2017-650-000375745

본 연구는 작가의 내적 정서와 관련된 사건을 회상하고 그를 바탕으로 주관적 조형화를 시도하여 화예 창작을 행한 연구이다. 연구자는 고향의 사진, 관련된 시집, 소설, 논문을 조사하였으며 아버지가 즐겨 부르시던 음악을 다시 듣고, 영화 등 다양한 미디어를 통해 고향의 기억을 떠올렸고 구체화했다. 또한 동생들과의 면담을 통해 아버지와의 소중한 추억들을 구체화하여 상기시켰다. 이렇게 상기된 기억을 토대로 내적 정서를 분석하고 아버지의 성품을 잘 드러낼 수 있는 기억들을 선택하여 모티브를 찾아 구체화하고 발전시켰다. 구체화된 기억을 토대로 행한 다양한 스케치를 토대로 내적 정서를 잘 표현할 수 있는 재료를 찾아 조형 실험을 하였다. 다양한 실험을 행하고 형태를 변형시키는 가운데 조형적 어휘와 표현을 개발하며 화예작품으로 완성시켜 나갔다. 이 과정에서 ‘온가족 합창’, ‘무거운 짐’, ‘우울한 노랫가락’, ‘머리파마’, ‘한밤중 산을 넘으심’의 5개 작품을 완성할 수 있었으며 그를 가지고 학위 청구 전을 개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recollect events of my internal emotions, thereby attempt to make subjective figurative images, and ultimately create floral art works. I was committed to recollect all the precious memories on my hometown and father, through his favorite songs, his pictures, interviews with my brothers, poems and novels on fathers, essays, use of mass media, and films. Based on the recollection, I picked up and embodied feelings conceived as motives, which fully describe my father`s characteristics and personality, and analyzed and evolved their internal emotion. Nevertheless, it would be a success to produce floral art works from my childhood and hometown memories by making the most use of living plants. It would be of great significance that I could take out the emotion on my old days to create art works and develop methodology, through these series of works. What is better, I could get healed in the process of this work.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