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9
216.73.216.9
close menu
KCI 등재
미국의 성년후견제도를 통한 우리나라에의 시사점 - 신상보호를 중심으로 -
Implication for Korea through American Adult Guardianship System - Focused on Protection of Someone`s Body -
이충은 ( Lee Choong-eun ) , 박근수 ( Park Keun-soo )
법과정책 22권 2호 119-154(36pages)
UCI I410-ECN-0102-2017-360-000380910

미국은 성년후견제도에 상응하는 제도로 종래부터 전통적인 법정후견제도가 있었다. 또한 지속적 대리권 수여제도, 리빙윌, 신탁이라는 법정후견제도의 대체제도도 존재한다. 이들의 제도는 각각의 장단점이 있으며, 서로 다른 제도로 보완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인의 잔존능력과 의사결정을 최대한으로 존중하기 위하여 가장 적합한 방법을 채택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기 때문이다. 의사능력을 상실하는 단계는 개인마다 차이를 보이며, 일률적으로 결정되는 것도 아니다. 따라서 각각의 제도가 가능한 한 유연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제도의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미국에서 전통적 법정후견제도는 피후견인의 심각한 인권침해와 충분한 절차 없이 진행된 피후견인의 권한의 박탈 등 많은 문제점들이 야기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법정후견제도의 대체제도가 이용되고 있지만, 대리인을 감독할 수 있는 시스템이 마련되지 않아 대리인의 권한남용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법정후견제도와 그 대체제도가 적절하게 조화되어 적용이 된다면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물론, 지원을 필요로 하는 고령자나 장애인이 다양한 제도 중에서 자신에게 맞는 것을 선택할 수 있는 복지제도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미국은 후견과 대리, 신탁, 유언 등의 고령자에 관한 법을 종합한 고령자법(Elder Law)이 존재하여 각 제도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가 이루어져 왔으며, 법률 이외에도 사회복지, 의료 등의 분야를 관련지어 논의되어 왔다는 점에서 우리에게 시사 하는바가 크다. 이에 본 논문은 미국의 종래의 전통적인 법정후견제도와 법정후견제도의 대체제도인 지속적 대리권 수여제도, 의료를 위한 지속적 대리권제도, 리빙윌, 신탁제도를 살펴본 후, 각 제도와의 관계를 검토함으로써 신상보호에 대한 향후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As a system corresponding to American guardianship system, there was a traditional legal guardian system originally in Korea. Also, a presentation system of a continuing power of attorney and subordinate systems called living will and trust exist. These systems have strong and weak points respectively. To supplement each other is possible. It is because to choose the most proper method was considered important in order to maximally respect remaining capacity of one’s own and decision making. A stage to lose mental capacity is different per person and is not decided uniformly. So, examination of systems should be realized so that each system can be applied flexibly as much as possible. The traditional legal guardianship system in the US causes a lot of problems such as serious violation of human rights of a ward and deprivation of the rights of a ward which was processed without enough procedures. Although subordinate systems of the legal guardian system are used so as to overcome these problems, a system to control an agent is not prepared. Therefore, a problem of abuse of rights occurs. If the legal guardian system and the subordinate systems are applied to cases suitably and harmoniously, the above problems can be solved. Besides, they will be reborn as welfare systems to select one thing proper for an aged person or a disabled person himself / herself among diverse systems. Especially, in the USA, because there is Elder Law that laws for aged people have been integrated, such as guardianship, agency, trust, and will, synthetic examination about each system is being realized. In addition to laws, in that discussions related to welfare, medical treatment, and so on are made, they have great implications for us. Hence, after looking into the US existing traditional legal guardianship system and subordinate systems of the legal guardian system such as the presentation system of the continuing power of attorney, continuing power of attorney for medical treatment, living will, and trust, this paper proposes future directions on the protection of someone’s body by looking into relation with each system.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