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KCI 등재
키틀러 매체론에서의 정신분석학적 담론: 매체환경과 담론 형성의 상관관계에 관하여
Psychoanalysis in Kittler`s Media Theor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n environment and formation of the discourses
최소영 ( So-young Choi )
미학예술학연구 48권 215-243(29pages)
DOI 10.17527/JASA.48.0.07
UCI I410-ECN-0102-2017-600-000392679

정신분석학은 아날로그 매체인 축음기, 영화, 타자기를 기반으로 하는 기록시스템 1900년경의 주요 담론 중 하나로 볼 수 있다. 그리고 키틀러는 이 시대미디어 기술의 특징인 기록기술간의 비호환성, 그리고 매체치환을 특징으로 구축된 것이 바로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이라 본다. 프로이트가 꿈을 해석해 나가는 과정은 이미지를 언어로 ‘치환’하는 과정이다. 키틀러는 이미지를 언어로 바꾸는 이 매체치환의 과정을, 영화적 상징성을 수사학적이고 문자적인 영역으로 바꾸는 과정이라 보며 이것을 프로이트 정신분석학의 특징으로 규정한다. 그리고 이 새로운 담론 내부의 텍스트들은 일종의 정보로서 흐르며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발전하게 되는데 이런 사례는 당대의 저명한 정신과 의사였던 플레히지히와 그의 환자였던 다니엘 슈레버의 <회고록>, 그리고 이 텍스트에 대한 프로이트의 분석의 관계에서 찾아볼 수 있다. 프로이트는 슈레버의 망상 증세에서 강하게 나타나는 성적 환상과 리비도 집중이야말로 자신의 이론, 즉 신경 정신계 병의 근원을 환자의 성생활에서 찾아야 한다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좋은 사례로 보고 있다. 그러나 키틀러는, 슈레버의 회고록을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적으로 이해하며, 회고록에 등장하는 신이 슈레버의 아버지이자 형이라고 분석하는 프로이트의 해석에 반대한다. 키틀러는 이 회고록에 등장하는 신의 광선에 대한 이야기나 신경만으로 이루어진 신의 존재, 그리고 시체와만 교류할 수 있는 신에 대한 이야기가 플레히지히 박사의 이론과 너무나 유사하다고 보고, 그와의 상담과정 등을 통해 얻게된 당대의 지식이 슈레버의 망상의 구체적인 내용이 되었다고 주장한다. 즉 슈레버의 회고록은 정신분석적 텍스트의 근원이라 할 정신질환자들이 당대의 정보 네트워크에 이미 따라 잡혔음을 보여주는 증거라는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형성된 새로운 담론인 정신분석학은 문학과 같은 다른 담론에도 영향을 미치며 새로운 담론 네트워크를 형성하게 된다. 즉 키틀러가 분석하는 정신분석학은 우리의 지식 담론이 불변하는 것이 아니라 늘 새롭게 탄생, 발전하며 그 토대에는 기록기술에 의한 매체적 환경이 자리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라 할 수 있다. 매체이론과 정신분석학적 논의는 둘 다 결정적으로 중요한 요소나 층위가 눈에 드러나지 않고 숨어 있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는 점 때문에 그 두 영역간의 관계에 대해 여러 관점에서 연구하려는 시도들이 있다. 그리고 키틀러의 매체론 역시 그 자체로 정신분석적인 이론으로 보는 연구자도 있다. 그러나 이런 관점은 매체환경과 담론 형성의 상관관계를 중시하는 키틀러의 이론을 근본적으로 오해할 여지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이 논문에서, 키틀러에게 정신분석학은 기록시스템의 선험적 조건이 아니라 매체적 환경 속에서 출현하는 여러 담론 중의 하나로 보아야 적합하다는 주장을 하고 있는 것이다.

Psychoanalysis might be seen one of important discourses of Aufschreibesystem 1900 that is based on the analogic media as like Gramophone, Cinema and Typewriter. Then Kittler insists that psychoanalysis is featured with incompatibility between technologies and media-transposi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mporary media technology. The process of Freud``s interpretation of dreams is a process to ‘translate’ images to the languages. Kittler has regarded the process of media-translation which images to the languages as a course that cinematic symbolism to the area of rhetoric and literal. It is prescribed as a peculiarity of Freud``s psychoanalysis then. The inside text of the new discourse is flowed as a kind of information and developed which is influenced each other, and we can find those kind of examples in the relationship among Flechsig who had been a famous psychiatrist and his patient Daniel Schreber``s < Memory >, Freud``s analysis about the text. Kittler opposed to Freud``s comprehension that he has figured out Schreber``s memory as a oedipal writing by means of understanding the god in the memory as Schreber``s father and brother. Kittler has thought the stories of this memory that god``s ray or god itself consisting solely of nerve, the story that god only can interact with corpse etc. are similar to the theory of Dr. Flechsig so much so that he has insisted the contemporary knowledge that Schreber might get through the counsel with Dr. Flechsig has become the concrete contents of Schreber``s delusion. That is Schreber``s memory is not a case that proves Freud``s theory, but it is the evidence that the psychopathic patients who are the source of psychoanalytic text had been caught up with the contemporary information networks already. Besides, the new discourse is influenced on the other discourses as like literature so that they can form a new discourse network.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