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KCI 등재
회화적인 조형표현으로서 김우조 판화의 의미
WooJo Kim`s prints as an alternative to painting
김영동 ( Young-dong Kim )
미학예술학연구 48권 71-110(40pages)
DOI 10.17527/JASA.48.0.03
UCI I410-ECN-0102-2017-600-000392639

김우조는 계성학교 재학 중 서양화가 서진달(徐鎭達)의 지도를 받았고, 1941년 제20회 조선미전에 수채화 한 점이 입선했다. 1943년 교직으로 진출해 1988년 정년퇴직 때까지 중등학교 미술교사로서 근무하면서, 독학으로 익힌 판화로 작품활동을 펼쳐왔으며 퇴직 후 2010년 타계할 때까지 오로지 작업에만 전념했었다. 김우조는 해방과 6.25전쟁을 겪고 난 후 당시 심각했던 재료 난을 극복할수 있는 대안적 방법을 찾던 중 판화매체에 착안하게 되었다. 그리고 古 판화를 통해서 전통에 대한 각성과 현대판화로의 가능성을 깨닫고 난 뒤인 1950년대 후반부터 본격적인 조형표현의 수단으로써 주목했었다. 가끔 유화를 병행하기도 했는데 이런 태도는 판화의 매체를 회화와 마찬가지로 자신의 예술세계를 구현하는 한 조형수단으로서 인식했지 특정 장르로만 자신을 한정시키려 하지는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판화가 지닌 독자적인 표현성에 대한 확신이 커진 1960년대부터는 판화에만 더욱 집중해 자신의 개성적인 표현을 확립한다. 그는 일반적인 판화작가들과 달리 ‘찍어서 표현이 되는 과정’을 붓으로 직접 표현하는 회화와 다른 가장 큰 차이로 이해하고 그것을 매력으로 살리려한 점이 판화예술에 접근하는 김우조의 태도라고 하겠다. 그런 김우조 판화의 개성은 가장 먼저 재료에서 나타난다. 특히 합판(베니어 판)같은 거친 재료들을 활용한 데서오는 특징은 그의 판화 기법과 완성된 그림의 효과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는데, ‘가난한 재료’를 통해서 역경의 시대를 상징하고, 내용에서 우리자신의 ``민중적 정서``를 주체적으로 반영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의 서사적 주제의 지판(紙版)화와 대형 채색 목판화에서는 감각적인 양식에도 불구하고 강렬한 리얼리티를 느끼게 하는 함축적인 내용으로 1980년대에 민중 목판화운동의 훌륭한 선취가 있다. 석판화로 만든 말년 작품 <춤> 시리즈에서 보이는 자유로운 실험정신은 그가 작고하기 직전까지 형식에 대한 열린 개념과 다양한 표현기법들을 구사했다는 증거들이다. 이처럼 김우조는 일찍이 회화작업의 대안으로 채택했던 판화 장르를 통해, 평범한 회화적 내용을 판화의 방식을 통함으로써 참신한 표현으로 바꿔 놓는 효과를 거둘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자신의 조형세계를 더 잘 구현한 결과가 되었다. 일찍이 판화의 실용성을 깨닫고 그 기법에 주목해 판화의 예술성을 민중성과 시대적인 리얼리티를 확보하는 경지로 자유롭고 실험적인 조형표현의 단계로까지 확장시켰던 작가임에도 불구하고 아직 그의 작품세계는 충분히 조명 받지 못한 채 비평의 바깥에 놓여있다. 그의 판화세계에서 특히 민중성과 그와 함께 높은 예술성이 폭넓게 논의되고 평가받기를 기대한다.

Kim, Woo jo had taken drawing lesson by Seo, Jin dal while he was attending Keisung School. In 1941 after his water color painting was chosen at the 20th Joseon Art exhibition, his name started to be known as an painter. From 1943 to 1988, he had been at a high school as a teacher. During this period he studied printing technique(skills) for himself and exhibited his outstanding prints. In his latter days, he only focused on printing works.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in 1945 and the Korean War, he had a hard time to get painting materials. Therefore, he had to find alternative ways to overcome the lack of them. His printing works were the result of his long consideration. Through the research on ancient printins, he realized the importance of tradition and the possibility of changing them to modern works. In the late 1950s, he considered printing as his major means of expression, but he didn``t confine his creative activity into producing paintings. So he combined oil paintings with printings. However, since the 1960s when he started to have confidence on the unique way of expression in printings, he had built a highly individual style of printings. He understood the major difference between paintings and prints as follows: the one as drawing with brushes and the other as ‘printing process’. His characteristic approach to print was to use raw material like plywood. This affected both his prints and paintings. The material symbolized difficult times, and the content of his works reflected ‘the sentiment of the people’. His paper prints and large-scaled color wood prints which expressed epic subjects led the realistic wood print movement during the 1980s. In his late lithographic works, < Dance > series which represented his liberal spirit on experiment, he pursued various techniques and was free from formality in expressing his ideas. At first, though he chose print as an alternative to painting, he achieved a remarkable success in transforming common paintings into fresh expression through applying printing technique. This also helped him realize his artistic concept. Even though his achievement in expanding the world of print into expressing the spirit of the time, and to liberal and experimental expression should have been highly evaluated, his works still do not receive the spotlight and attract critics`` attention. I expect that his artistry and noble thinking to the people are able to be discussed and judged freshl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