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7
216.73.216.17
close menu
KCI 등재
놀이치료자의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역전이 관리능력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ies of Play Therapists and their impact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Stress Coping Styles and Burnout
최수빈 ( Su-bin Choi ) , 유미숙 ( Mee-sook Yoo )
DOI 10.17641/KAPT.19.3.3
UCI I410-ECN-0102-2017-180-000444220

본 연구에서는 놀이치료자의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를 확인하고, 역전이 관리능력의 매개효과를 규명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및 경기 지역 소재의 놀이치료자 233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대처방식 척도(The Ways of Coping Checklist), 심리적 소진 척도(Inventory for Burnout about Child Counselor), 역전이 관리능력 척도(Countertransference Factors Inventory: CFI)를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놀이치료자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심리적 소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놀이치료자의 스트레스 대처방식 중 적극적 대처는 역전이관리능력의 모든 하위요인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극적 대처는 역전이 관리능력의 하위요인 중 자기통합, 자기통찰, 공감능력, 불안관리를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놀이치료자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심리적 소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적극적 대처의 경우 역전이 관리능력의 하위요인 중 자기통합, 공감능력, 불안관리, 개념화 기술을 부분매개로 하여 심리적 소진에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극적대처의 경우 역전이 관리능력의 하위요인 중 자기통합, 공감능력, 불안관리를 부분매개로 하여 심리적 소진에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sought to verify the partially mediating effects of countertransference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stress coping styles and burnout among play therapists. The subjects, 233 play therapists working in Seoul and Gyeonggi-do, were assessed by means of 3 inventories; The Ways of Coping Checklist, the Inventory for Burnout about Child Counselors, and the Countertransference Factors Inventory: CFI.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various stress coping styles of play therapists had significant effects on burnout. Second, it was revealed that active coping as a form of stress coping had significant effects on all the sub-factors of countertransference and passive cop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4 sub-factors of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ies; self-insight, self-integration, empathy ability, and anxiety management. Third, thes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active coping had a direct effect on affected burnout and also indirectly impacted upon it through self-integration, empathy ability, anxiety management, and conceptualizing skills. Moreover, passive coping was found to directly affect burnout and indirectly affect burnout through self-integration, the ability to empathize and anxiety management; which operated as partial mediator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