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한국 문학의 전통이라고 할 수 있는 구어적 소설의 담론이 갖는 문학적 의의와 가치를 조명해 보고, 그 내용을 문학교육의 내용으로 적극 반영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김유정, 채만식, 이문구, 황석영, 성석제, 이기호의 구어체 소설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그러한 구어체 소설이 서사 문학의 전통 중하나인 공동체적 경험에 터한 ‘공감’과 ‘울림’의 문학적 소통 방식임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국 문학 전통의 이해와 소설담론 교육의 필요성에 근거하여 구어체 소설의 문학교육적 가치와 가능역을 살펴보았다.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significance and literary value from the Korea oral language novels those are the Korea Literature tradition, and to propose that education be taught in the literature for the oral language novels. To this end, this paper investigated the novel of Kim, Yu-Jeong, Chae Man-sik, Lee Mun-ku, Hwang Sok-yong, Sung Suk-je, Lee Ki-ho ’s works. and We found that the oral language discourse is communication method of ‘empathy’ and ‘convenir’ based on the community experience and spirit. At last, This paper proposes the possibility of literature educational value of oral language novels, based on Korea’s literary tradition and the necessity of understanding and teaching discourse of novel, focusing on the 2015 curricul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