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모바일 기기의 확산에 따른 일본어교육 패러다임의 전환에 대응하기 위해 사이버대학의 스마트러닝1) 실태와 과제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이를 위해 H사이버대학 일본어학습자 264명에게 5년간 3회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통해 스마트캠퍼스의 5년간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본고는 사이버대학에서 스마트캠퍼스로의 전환이 급격하게 이루어졌던 지난 5년간의 스마트러닝의 변화를 알 수 있는 자료로서 앞으로의 개선 방향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본 조사에서는 학습자들의 스마트러닝 이용 실태와 의식, 태도를 분석하였고, 스마트러닝 활성화를 위한 학습자 요구사항에 대해 알아보았다. 설문조사의 분석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었다. (a) 학습자들의 스마트러닝에 대한 관심은 높게 나타났으나, 다양한 이유로 아직 스마트러닝에 참여하는 학습자는 절반 수준에 머물러 있다. (b) 기술적으로는 모바일 강의에서도 PC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스마트러닝 학습지원 시스템 개발이 요구된다. (c) 내용적으로는 교수자의 우수한 콘텐츠 개발을 통해 학습자의 스마트러닝 만족도를 상승시킬 필요가 있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current states and tasks of smart learning at a cyber university in response to the educational paradigm shift brought about by the proliferation of mobile devices. This "shift" was recorded and studied in a survey of 264 Japanese students at the H Cyber University, conducted three times over a span of five years. The contents of this paper allows us to see the change of mobile learning that occurred during the past five years. The rapid transition to a smart campus at the cyber university is a significant area for analysis as it can offer insights into the future direction of improvement. In this study, students` awareness and attitudes were analyzed when exposed to a smart learning situation in order to study what the learner needs to activate smart learning.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survey can be seen in the following points: (a)Although the learners` interests for smart learning is high, with diverse reasons the number of people that actually participate in smart learning is still stuck at only half of those surveyed. (b)Technically a smart learning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 must be developed in mobile lectures that can serve the same function as the PC learning support system. (c)The satisfaction of the learner must be increased with the development of excellent smart contents by the staf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