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KCI 등재 SCOPUS
솔잎추출물의 피부건강 개선효과
The Beneficial Effects of Extract of Pinus densiflora Needles on Skin Health
최지은 ( Jieun Choi ) , 김웅 ( Woong Kim ) , 박재영 ( Jaeyoung Park ) , 정현숙 ( Hyeonsook Cheong )
UCI I410-ECN-0102-2017-470-000325510

솔잎은 동의보감과 향약생약대사전에 간, 위, 심, 피부 등 질환 치료에 효과가 있다고 하여 예로부터 솔잎을 노화방지와 피부질환치료에 활용하여 왔다. Malassezia furfur (M. furfur)는 친유성 곰팡이로 인간 피부에 존재하는 흔한 균이다. 이 균은 대게 피부의 각질층에서 주로 발견되며, 어우러기, 지루성 피부염, 비듬, 모낭염, 건성 등의 각종 피부질환의 주요요인이다. 본 연구는 사람의 대부분의 염증실험에서 사용되는 Raw 264.7 세포를 이용하여 솔잎의 항염증 활성을 확인하였다. 솔잎을 에탄올, 물, 메탄올로 추출하여 항산화 효과를 확인한 결과, 메탄올 추출물에서 항산화능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에 따라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물 층으로 나누었다. 이 4층을 이용하여 노화의 원인이 되는 자유라디칼의 소거능을 확인한 결과, 부탄올과 에틸아세테이트층에서 강한 항산화 활성이 나타났으며, M. furfur에 대한 항균활성을 확인한 결과 부탄올, 에틸아세테이트층과 헥산층에서 항균활성이 나타났다. 또한 티로시나아제 저해에 따른 미백활성은 4층 모두 대조군인 비타민C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세포실험을 위해 먼저 대식세포인 Raw 264.7에 솔잎 분획물을 처리하여 세포독성을 확인 한 결과 Hexane층에서 농도별로 높은 독성이 나타났으며 나머지 층에서는 독성이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이후 Malassezia furfur로 염증반응이 유도된 Raw 264.7에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물층을 처리하여 염증에 관련된 유전자들의 발현량을 Real-Time PCR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이때 사용된유전자는 IL-1β, TNF-α로 에틸아세테이트층이 염증과 깊은 연관이 있는 IL-1β와 TNF-α의 발현량을 낮추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모든 실험결과들을 종합해 보았을 때, 솔잎은 천연자원으로써 피부 건강과 관련된 건강식품, 건강보조제, 화장품 등 폭 넓은 범위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inus densiflora Sieb. et Zucc. (P. densiflora) contains several phenolic compounds that exhibit biological activities, such as antimicrobial, antioxidant, and antihypertensive effects. However,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P. densiflora on skin has rarely been reported. Malassezia furfur (M. furfur) is a commensal microbe that induces skin inflammation and is associated with several chronic disorders, such as dandruff, seborrheic dermatitis, papillomatosis, and sepsis. The aim of our study was to identify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P. densiflora needle extracts on skin health subjected to M. furfur-induced inflammation. The methanolic extract of the pine needles was partitioned into n-hexane, EtOAc, n-BuOH, and water layers. We measured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in macrophages) as well as the antioxidant, antifungal,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each of these layers.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individual layers was in the order EtOAc layer > n-BuOH layer > water layer. Only the n-BuOH, EtOAc, and n-hexane layers showed antifungal activity. Additionally, all the layers possessed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similar to that of ascorbic acid, which is used as a commercial control. The EtOAc layer was not cytotoxic toward the RAW 264.7 cell line. Interleukin 1 beta and tumor necrosis factor (TNF)-α expression levels in M. furfurstimulated RAW 264.7 cells treated with the EtOAc layer were decreased markedly compared to those in cells treated with the other layers. Taken together, we believe that the needle extracts of P. densiflora have potential application as alternative anti-inflammatory agents or cosmetic material for skin health improvement.

Introduction
Materials and Methods
Results
Discussion
Acknowledgments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