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12
216.73.216.112
close menu
학습환경으로서의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이 인지된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이은상 , 김현진
UCI I410-ECN-0102-2017-370-000329257
이 자료는 4페이지 이하의 자료입니다.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은 학교교육에서 새로운 학습환경을 형성하여 유의미한 학습을 촉진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는 새로운 유형의 교과서로서 디지털교과서는 학습자 중심 학습환경을 추구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학습자들이 디지털교과서 학습환경을 학습자 중심 환경의 맥락에 적합하게 인식하는 것이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과 이러한 관계에서 학습접근이 매개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 디지털교과서 연구학교 중 일부의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에게(397명)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에서의 학습환경인식, 학습접근, 인지된 학습효과에 대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상관분석, 단순회귀분석, 중다회귀분석, 매개효과분석을 통해 분석되었으며, 특히 매개효과의 유의성은 Sobel test와 Bootstrap을 통해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전체적인 학습환경 인식은 인지된 학습효과를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둘째, 학습환경 인식의 하위요인 중 ``학생 자율성``, ``개인적 관련성``, ``적극적 학습`` 순으로 인지된 학습효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학습접근방식은 학습환경 인식이 인지된 학습효과를 예측하는데 부분매개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학습자들이 디지털교과서 학습환경을 학습자 중심 학습환경에 적합하게 인식할수록 심층적으로 학습에 접근할 뿐만 아니라 학습효과를 높게 판단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을 실시하는 교사들이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학습환경을 검토하고 설계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