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르주 라투슈(Serge Latouche)는 가치관이나 신념체계와 같은 문화적 요인을 통해 성장의 사회적 한계를 설명함으로써 니콜라스 조지스큐-로이젠(NicholasGeorgescu-Roegen)의 생태경제학을 탈성장으로 전환시켰다. 더구나 그는 지속 가능한 탈성장이나 허먼 댈리(Herman Daly)의 균제상태 경제에 대해 성장지상주의나 발전지상주의에 갇혀 있다는 이유로 비판한다는 점에서, 그에게 문화적 요인의 변화, 즉 문화혁명은 자신만의 탈성장론을 구축할 수 있는 근거이기도 하다. 그의 탈성장론에서 ‘상상력의 탈식민화’나 발전지상주의의 극복이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다. 그렇지만 ‘상상력의 탈식민화’는 현실적으로 쉽지 않으며 그래서 이를 통한 탈성장론은 객관적인 가능성을 모색하는 구체적인 유토피아가 되기 어렵다. 이러한 의미에서 그의 탈성장론은 문화적 요인에 기초해서 자신만의 특징을 확보했지만 바로 이러한 요인 때문에 그리고 구체적 유토피아라는 그의 주장과 충돌한다는 점에서 자기모순을 안고 있는 셈이다.
Latouche describes the social limits to growth through cultural factors such as values and belief systems and converts Georgescu-Roegen``s ecological economics to his own degrowth theory. Moreover, he criticizes sustainable degrowth or Daly``s stady state economy on the ground that it is not free from growthmania or developmentalism. And therefore, changes in cultural factors, namely the Cultural Revolution is also the basis on which to build his own degrowth theory to him. In his degrowth theory, why ``Decolonization of imaginary`` or Overcoming the developmentalism has an important meaning is right here. However, decolonization of imaginary is not easy in reality, so degrowth theory through it is difficult to become a concrete utopia seeking an objective possibility. In this sense, his degrowth theory is ensured his own characteristics by being based on cultural factors, but this theory conflicts with his own assertion that it is a concrete utopia because of these factors. In this point, I can say that this theory holds a self-contradi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