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KCI 등재
명문의 새로운 판독을 통해 본 울주 천전리각석의 성격과 가치
The Characteristics and Historical Values of the Cheonjeon-ri Petroglyphs in Uljoo -Based on the New Reading of Inscriptions-
강종훈 ( Jong Hoon Kang )
대구사학 123권 1-45(45pages)
DOI 10.17751/DHR.123.1
UCI I410-ECN-0102-2017-900-000238597

울주 천전리각석에는 선사 시대의 암각화와 더불어 신라 시대에 작성된 많은 명문들이 새겨져 있다. 후자는 왕족을 비롯한 신라의 지배층 인물들과 화랑, 승려 등이 천전리 일대를 방문하고 자신들의 방문 사실을 기록한 것으로서, 일종의 방명록의 성격을 지닌다. 본고는 천전리각석에 새겨진 신라 시대의 명문 자료의 내용을 정리하고, 그 자료들이 사료적으로 어떤 가치를 지니는지를 살펴본 것이다. 천전리각석의 명문들에 대해서는 최근에 새로 정밀 판독이 이루어진 바 있는데, 본고에서는 그에 기반하여 기존에 주목하지 않았던 것들을 새롭게 조명하였다. 아울러 그동안 많은 논의가 있었던 원명과 추명에 대해서도 새로운 이해 방향을 제시하였다.

On the Cheonjeon-ri Petroglyphs in Uljoo, there are many inscriptions engraved during the Silla period. They can be called as a kind of visitors’ book on which some royal family, Hwarangs, and Buddhist monks wrote down their names after visiting Cheonjeon-ri area. This paper aims at introducing the contents of the inscriptions in detail and measuring their historical values. Recently a new minute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on the inscriptions of the Cheonjeon-ri Petroglyphs. By virtue of the new investigation, this paper deals with many unobserved things so far. And also a new way of understanding is presented about two of the most important inscriptions, Won-myoung(engraved in 525 AD) and Choo-myoung(engraved in 539). (Professor of the Department of History Education, Daegu Catholic University / kangjh@cu.ac.kr)

Ⅰ. 머리말
Ⅱ. 천전리각석의 주요 명문
Ⅲ. 천전리각석 원명과 추명
Ⅴ. 맺음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