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금속용사 시스템을 수처리 시설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방식 공법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표면처리 방법에 따른 기초적 성능 평가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결과 Sa-P-R-(S)(샌딩-침투성표면강화제-조면형성제-봉공처리)의 경우가 3.57MPa로 가장 높은 부착성능을 나타냈다. 부착성능이 확보된 면처리 방법을 기반으로 투수성, 투기계수 측정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결과 Sa-P-R-(S)의 경우가 각각 0.68×10-8cm/sec,0.45×10-16m2로 가장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SEM분석 결과 침투성 표면강화제를 도포한 실험체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콘크리트의 미세 구조가 더 치밀한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구조로 인해 침투제를 도포한 경우의 실험체에서 가장 높은 부착성능이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표면 처리 방법은 금속용사 시스템을 적용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며, 본 연구를 통하여 Sa-P-R-(S)의 경우가 수처리 시설 콘크리트 구조물의 적용하기에는 가장 적합한 면처리 방법이라 판단된다.
In this study, the bond strength of metal spraying system by surface treatment of concrete (waterproof/corrosion method) in water treatment facilities was evalua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ystem with Sa-P-R-(S) (sanding-perviousness surface hardener-surface roughness agent-metal spraying-sealing) led to the desirable performance. The bond strength, the coefficient of water permeability and air permeability were 3.7MPa, 0.68*10-8 cm/sec, and 0.45*10-16 cm2, respectively. I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alysis, the microstructure of specimen coated with perviousness surface hardener was much denser than that without it. Therefore, the specimen coated with sanding-perviousness surface hardener-surface roughness agent-metal spraying-sealing had the best bond performance and was the most suitable system to concrete surface in water treatment facil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