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KCI 등재
커튼월 공사의 성능,사양 연계 시방서 프로토타입
Hybrid Prototype of Performance and Prescriptive Specifications in Curtain Wall Construction
이준호 ( Jun-ho Lee ) , 조동현 ( Dong-hyun Cho ) , 구교진 ( Kyo-jin Koo )
UCI I410-ECN-0102-2017-540-000258926

건축공사 시 적정 품질 확보를 위해 활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국내 설계기준 및 시방서는 절차를 중요시 하며 재료·치수 등을 규정하는 사양 기반이다. 공사업체의 창의성저해 및 이로 인한 경쟁력 약화 등 사양시방서의 다양한 문제점에 기인하여 최근 최종 결과물을 중요시 하는 성능 기반의 시방서가 제시되고 있지만 건축 분야 적용에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시방서 사례의 성능 및 사양항목 기반의 커튼월 공사 성능·사양 연계 시방서 프로토타입을 제시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중요 성능점검 시점을 도출하였으며, 각 시점별 관련 참여주체 역할을 반영한 성능점검 프로세스와 샘플시방서를 제시하였다. 전문가면담기반 검증 결과 현장적용성이 높고 공사 진행단계에서의 성능 확보를 적극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효과적인 도구로 평가되었다.

The most design criteria and specifications in Korea utilized to ensure appropriate quality are based on process and prescriptive criteria determining materials, measure and methods. It has many problems including a loss of competitiveness resulting from inhibited creativity of the contractors. The performance-based specifications focused on final product are being proposed, but have difficulty in adapting to the architectural field. In this study the hybrid specification prototype for curtain wall construction was suggested. The specification framework was presented through analysis of linkage between the performance and prescriptive specification cases. Based on the survey with practitioners, the performance inspection process and the sample specification were developed by identifying the essential performance test timings. The applicability of the specification prototype was evaluated by interviews with experts. It was found that the prototype was active and a progressive supporting tool which could support to secure phased performance during construction as well as final performance.

1. 서 론
2. 예비적 고찰
3. 국내·외 커튼월 공사시방서
4. 커튼월 공사시방서 활용 현황
5. 커튼월 공사 성능·사양 연계 시방서 프로토타입
6. 결 론
요 약
Acknowledgement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