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82
216.73.216.182
close menu
KCI 등재
3D BIM을 활용한 골조 거푸집 공사의 생산성 분석에 관한 연구
Productivity Analysis for Structural Formwork Using 3D BIM
최창훈 ( Chang-hoon Choi ) , 박영진 ( Young-jin Park ) , 소지윤 ( Ji-yoon Soh ) , 김성연 ( Sung-yeon Kim ) , 이준복 ( Jun Bok Lee )
UCI I410-ECN-0102-2017-540-000258759

건설 프로젝트에 BIM기술이 적용되기 시작하면서, BIM은 전 생애주기 동안 다양한 분야의 정보를 생산하고 활용될수 있도록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BIM기반의 물량산출 데이터를 활용하여 생산성을 분석할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3D BIM기반 모델을 기반으로 부재의 물량정보를 활용하여 물량을 산출하였으며, 이를 활용하여 현장 생산성을 도출하여 통합 생산성 기준과 비교·분석하였다. 향후 본 논문의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생산성 저하요인을 분석하여 현장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관리방안 도출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construction progress control is very important because there are many unexpected factors affecting time schedule delay and cost overruns. A complicated measure including item quantity and inherent time and costs is used to monitor the progress. Another element to be considered is a productivity, which is cost effectiveness because productivity is primarily measured by the costs. Productivity is stated as constant in-place value divided by inputs such as worker-hour.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productivity of structural formwork using a 3D BIM.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 an integrated model of a BIM with a daily foreman’s report is developed. The quantities being extracted from a 3D model and information are integrated with manpower utilized. The developed model is applied to a case project to measure and analyze the productivity in terms of individual building and work crew team. The results are discussed and further research topics will be addressed.

1. 서 론
2. 이론적 고찰
3. BIM을 활용한 거푸집 공사 생산성 분석
4. 3D BIM기반 물량산출 적용 사례 프로젝트의 생산성 분석 및 검증
5. 결 론
요 약
Acknowledgement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