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30
216.73.216.130
close menu
선춘령과 공험진의 위치 고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sitions of Seonchullyeong and Gongheomjin Consideration
이상태 ( Sang Tae Lee )
학림 37권 63-93(31pages)
UCI I410-ECN-0102-2017-900-000258295

고려시대 윤관(尹瓘)이 동북면 쪽의 여진족을 물리치고 9성(城)을 쌓았는데 그 위치에 대하여 여러 가지 학설(學說)이 있었다. 조선왕조실록이나 고려사 등에서는 9성의 위치를 두만강 북쪽 700리 지점에서부터 두만강 유역 일대까지로 비정하였다. 조선후기의 실학자 일부와 근대의 일본인 학자들은 9성의 위치를 길주이남 함흥평야일대로 비정하였다. 일본인 학자 가운데서도 9성 지역을 가장 축소해 보았던 이케우치히로시는 공험진을 함흥평야 일대로 한정하고, 실제 함흥 부근의 고적을 조사하여 9성의 위치를 설정하였다. 이러한 일인 학자들의 학설은 고려나 조선의 국력을 과소평가하려는 식민지 사관에서 출발한 것이다. 『조선왕조실록』이나 『고려사』의 기록을 검토해보면 일인학자들의 주장은 터무니없음을 알 수 있다. 윤관이 설치한 공험진과 선춘령비는 9성 중에 가장 북쪽에 위치하였고, 두만강 북쪽 700리 지점에 있다고 기록되었으므로 만주 지역을 답사하여 어느 정도위치를 비정할 수 있었다. 첫째 조선은 건국하고 바로 명나라와 만주 지역의 여진족 관할권을 협상하여 명나라로부터 인정받았다. 세종은 김종서에게 선춘령비의 위치를 확인하여 보고하라고 지시하였다. 김종서는 경원부에서 선춘령에 이르는 이정을 두 갈래로 파악하여 보고하였는데 이 내용이 『세종실록지리지』에 수록되어 있다. 둘째 조선시대에는 많은 북방쪽 지도가 제작되었다. 15세기 제작된 『팔도지도』에서도 공험진과 선춘령비의 위치를 표시하였다. 그 후 17세기에 제작되는 『동여비고』나 『봉화산악팔도지도』에서도 선춘령비를 잘 나타내고 있다. 18세기 들어 제작된 『요계관방도』 나 『서북피아양계만리지도』에서도 선춘령비를 표시하였으며, 19세기에 제작된 『관서총도』에서도 윤문숙공비라고 표시하고 있다.셋째 실제 답사를 통하여 선춘령비의 위치를 짐작할 수 있었다. 북한지역은 갈 수가없지만 두만강탄에서 북쪽으로 90리에 오동사오리참이 있다고 하였으므로 두만강가의 회령 삼합진에서 출발하여 화용까지 가면 30km이므로 여기가 오동참일 것이다. 여기에서 60리 북쪽에 하이두은이 있는데, 실제로는 화용에서 용정까지는 22km이므로 용정이하이두은일 것이다. 여기까지는 실록의 기록이나 현지의 답사 기록이 비교적 일치하므로 별다른 문제점이 없다. 여기 하이두은에서 100리에 해당되는 곳이 영가참인데 이 영가참을 찾기가 매우 어렵다. 그것은 현지 사정이 조선초기보다 많이 달라졌기 때문이다. 예전에는 연길시가 발달되지 않고 국자가(局子街)라는 조그마한 마을이었는데 지금은 연길시가 발달되어 있고, 도로 사정도 많이 달라졌기 때문에 .세종실록지리지.에 표시된 영가참을 찾는 것이 매우 어렵다. 현지답사로는 용정에서 연길까지는 21km이므로 50리이다. 연길에서 50리인 20km를 더 간 곳이 영가참일 것이다. 연길에서 중국의 영고탑 쪽으로 20km를 더 간 곳에 영가참의 예정지를 찾아야 하는데 이러한 지역은 왕청현의 백초구령이 유력하다. 또 다른 도로는 현성에서 출발하여 어라손참을 거쳐 허을손참을 지나 유선참을 거쳐거양성에 도달하는 교통로인데 실제 답사하면 왕청현 부근의 백초구령이 선춘령에 해당된다. 백초구령 부근에는 고려촌이 있는데 지금은 고성촌과 려성촌으로 나누어졌지만, 그곳주민을 면담한 결과 그곳에 성(城)이 있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세종실록지리지의 기사 내용과 만주 지역을 실제로 답사한 결과와 고지도 표기 등을 종합하면 윤관의 공험진과 선춘령비는 오늘날 왕청현의 백초구령에 있었을 것이다.

General Yoon Kwan of the Goryeo Dynasty defeated the Yeojin(Jurchen) Tribes of the Northeast of Korean Peninsular and built the Nine Citadels, and there used to be various theories on their location. O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朝鮮王朝實錄) and the History of Goryeo(高麗史), the Nine Citadels were located within 700 li north of Tumen River. A few Silhak scholars of the late Joseon period and modern Japanese scholars set their location to the Hamheung Plain area of south Gilju. Ikeuchi Hiroshi who asserted the most reduced domain of the Nine Citadels among the Japanese scholars limited Gongheomjin to the Hamheung Plain area, and set up the location of the Nine Citadels by investigating the historical remains around the Hamheung area. This theory embodied by the Japanese scholars was originated from the perspective of colonialist histography which was mean to underestimate the national power of Goryeo or Joseon. Reviewing the Joseon Dynasty and the History of Goryeo, it is obious their claims are illogical. Since it is written that Gongheomjin and Seonchunryeongbi set by General Yoon were located in the northmost region among the Nine Citadels and the area 700 li north of Tumen River, its approximate location can be decided by making a field investigation of Manchuria region. First, after established, the Joseon negotiated with the Ming Dynasty on the jurisdiction of the Yeojin Tribes of Manchuria region and gained recognition. King Sejong commanded General Kim Jong-seo to check and report the location of Seonchunryeongbi. General Kim found out and reported that there are two road branches from Gyeongwonbu to Seonchunryeong, which are recorded on the King Sejong’s Treatise on Geography. Second, many maps covering northern regions were produced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location of Gongheomjin and Seonchunryeongbi is marked on the Map of Eight Provinces produced in the 15th century. Dongyeobigo and Bonghwa-sanak-paldo-jido produced in the 17th century also marked the Seonchunryeongbi. Map of the Yogye Borderland and Seobuk-pia-yanggye-malli-jido produced in the 18th century also marked the Seonchunryeongbi, and Kwanseochongdo produced in the 19th century marked the Yoonmoonsook-gongbi. Third, through the actual field investigation, the location of Seonchunryeongbi were able to presumed. Despite we are not allowed to investigate the North Korean region, based on the opinion that there is Odong-saoricham in 90 li north of Tumen River, if leaving from Samhapjin, Hoeryong of Tumen River up to Hwayong, the destination would be Odong-cham, which is 30km away from the original point. Haidueun in 60 li north from there might be Yongjeong, since the distance from Hwayong to Yongjeong is 22km. As far as here, the record in the Annals corresponds with the record of field investigation, and there is no particular issue. However, Yeonggacham which is in 100 li from Haidueun is very difficult to find. That is resulted from the changed local situation from the early Joseon period. Yanji City was previously underdeveloped and used to be a small town named Kukjaga, but now Yanji City is developed and road situation has been changed, and therefore finding Yeonggacham marked on the King Sejong’s Treatise on Geography is challenging. By field investigation, the distance from Yongjeong to Yanji City is 21km or 50 li. 50 li or 20km further away from Yangji City must be Yeonggacham. The intended destination can be found at the area 20km further away to Ningguta from Yanji City, hence Baekchogu-ryeong in Wangqing County is the most potential destination. Another road is starting from Dongrim Province through Eorasoncham, Huheulsoncham, and Yooseoncham to Geoyang Province, and Baekchogu-ryeong of Wangqing County is correspond to Seonchunryeong by making a field investigation. There is a Goryeo village around Baekchogu-ryeong which is currently divided into Goseong Village and Ryeoseong Village. It has been confirmed through interviews with the residents that there used to be a citadel. Based on the evidence on the article on the King Sejong’s Treatise on Geography, the field investigation on Manchuria region, and the marks on old maps altogether, Gongheomjin and Seonchunryeongbi set by General Yoon is strongly presumed to be located at Baekchogu-ryeong in Wangqing Count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