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 경 : H&E 염색법은 세포의 배열과 형태학적 변화를 보기 위해 핵과 세포질을 구분 하는 염색법으로서 원하는 좋은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수 많은 요소들을 관리해야 한다. Dip&Dunk 방식, manual 방식의 염색방법은 individual 염색방법 보다 양질의 염색성 유지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본원에서는 H&E 염색의 정도관리 및 교체 주기의 표준화를 위한 근거자료를 만들고자 병리의사의 광학현미경 평가 결과를 RGB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객관화하기 위한 본 실험을 시행하였다 방 법 :1. 동일 블록으로 4㎛의 두께로 박절한 슬라이드를 헤마톡실린과 에오신 시약교체 후 처음 염색한 대조 슬라이드를 T1, 이후 연속으로 염색을 진행하면서 임의의 시점에 염색한 대조 슬라이드를 각각 T2, T3, T4로 표기하였다 2. 병리의사가 광학 현미경으로 판독하여 헤마톡실린과 에오신의 염색 강도에 따라 ‘양호’ 하다고 평가된 슬라이드는 0점을 부여하고 이를 기준으로 ‘약하다’, ‘강하다‘ 3단계로 구분하여 평가하였다. 3. 평가 후 동일한 구역을 사진 촬영하여 각 슬라이드당 20개의 점막세포를 선택하여 핵과 세포질을 지정한 다음 RGB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 과 : 1.T1의 경우 현미경 분석 결과값은 40배와 100배 모두 핵염색성은 평균 0,1이었고 세포질의 염색성도 평균 0으로 염색강도가 양호하였다. 2. RBG 분석으로 핵염색성을 분석한 결과, 적색-녹색-청색 모두 T1(시약교체후 첫번째 염색)에서 T4(누적 슬라이드 수 1100장)로 갈수록 값이 증가하였다. 3. RBG 분석으로 염색질 염색성을 분석한 결과 T1(시약교체 후 첫번째 염색)에서 T4(누적 슬라이드 수 1100장)로 갈수록 적색값에서만 감소하였고 녹색과 청색값은 증가하였다. 고 찰 : 본 실험을 통하여 H&E 염색 시약의 적절한 교체주기를 결정하기 위한 근거자료를 마련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