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수학교사가 수학학습 상담을 하면서 학습상담자로서의 전문성을 어떻게 키워 나가는지에 대해 자기연구(Self-study)의 방법을 활용한 사례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수학 교사의 수학 학습 상담의 과정과 상담의 내용, 수학학습 상담자로서의 교사의 자기 성찰의 내용과 전문성 신장 과정에 대한 자기관찰을 실시하였다. 교사는 수학 학습상담에 맞는 상담 모형을 개발하여 총 5회의 상담을 실시하였으며, 각 회기의 수학 학습 상담 과정의 내용에 대해 서술하였다. 상담 과정에서 연구자는 상담 자료 분석과 자신의 상담 내용을 토대로 자기 성찰 일지를 작성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자신의 상담 과정을 반성하였다. 또한 상담전문가와의 면담을 통해 상담 과정에서 필요한 교사의 역할과 개선할 점에 대한 조언을 얻어 상담에서 필요한 부분을 개선해 나가는 과정을 거쳤다. 위의 두 과정을 거쳐 연구자는 수학 학습 상담자로서 자신의 강점과 약점에 대해 파악하여 강점은 강화하고 약점을 개선해 나가면서 상담에 필요한 능력을 기르고, 학생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능력을 갖추게 되었다. 자기연구 과정을 통해 교사는 스스로 변화되는 모습을 겪으며 학생과 함께 변화하고 수학 학습 상담에 필요한 실천적인 지식을 습득하였다.
This study focuses on enhancing expertise as a study advisor for mathematic teacher in field based on self-study method. By advising math study with students in school,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process & content of mathematic study method advisement’, ‘process & content of the self-questioning by the math study adviser’, and ‘enhancing expertise as a math study counsellor by self-study method’. Overall process has been proceeded through preparation, experiment, result & analysis. Experiment has been done based on consultation modeling for academic high school which ran five times. During consultation, based on analysis & result, researcher has recorded ``self-questioning`` report. This report is utilized for ``self-examination`` for the researcher along the discussion with counselor for enhancing expertise as a study advisor. By above process, practitioner identifies each own``s pros & cons as a mathematic study advisor and strengthens the skill while understanding the subject: student. by ``self-studying`` method, advisor enhances its own expertise as a teacher with the achieving student and learns practical knowledge for a math study advis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