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집단 놀이치료 효과에 대한 실증적인 자료를 마련하고 그에 따라 실제 임상 현장에서 집단 놀이치료를 실시할 때 도움이 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존의 자료를 체계적으로 요약·정리 할 수 있는 메타분석의 방법을 사용하여 최근 10년간의 집단 놀이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해 종합·분석하였다.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총 30편(효과크기 293개)의 논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여 메타 분석을 실시하였다. 집단 놀이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전체 평균 효과크기에서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냈다. 전체 집단 놀이치료 프로그램의 분류별 효과크기를 분석해 본 결과 게임놀이, 치료놀이, 놀이 활용, 표현예술놀이, 놀이치료 순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크기를 보였다. 집단 놀이치료 프로그램과 관련변인과의 효과 크기를 분석해 본 결과 아동 개인 변인, 양육자 변인, 관계 변인의 순이었다. 중재변인으로서 연구대상을 중·고, 영·유아, 초등학생으로 분류한 후 놀이치료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분석하는데, 효과크기는 중·고등학생, 영·유아, 초등학생의 순이었다. 총 회기 수에 따른 프로그램 효과크기는 10~20회기, 20~30회기, 10회기 미만의 순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1회기 당 시간(분)을 범주화하여 각 효과크기와 차이검증을 실시한 결과, 30분 이상에서 40분미만의 효과크기가 가장 컸다. 마지막으로 출판연도를 연속 변인으로 코딩한 후 각 연도에 따른 효과크기를 회귀 분석하였는데 학술 논문에 있어서 최근 연도일수록 과거에 비해 놀이치료 프로그램의 효과가 상승한 것을 보여주었다.
This study was aimed at gathering data, when engaged in group play therapy in the fields, and to also gather empirical data on the effects of group play therapy. For this purpose, we synthesized and analyzed the effects of group play therapy programs over the last ten years, using a meta-analysis-a systematic approach, by using summaries and reviews of the previous literature. We analyzed the studies published in major nations, 30 studies(effect size samples n= 293), were chosen, using meta-analysis. Group play therapy program groups showed much more significant effects than control groups. According to the results in terms of the effect size of the classification of the play therapy program types,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ive sizes in order of the game play, theraplay, using play, expressive-arts play, and play therapy. Fro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effect sizes in this group play therapy program and related variables, show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ive sizes in order of the infants individual variables, rearer variables, and related variables. The intervention variables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whether the subjects were high school students, junior high school students, elementary students, or infants, and these intervention variables were then analyzed. The effect size order was as follows; high school students, junior high school students, infants, and elementary students.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observed in the order of 10~20 sessions, 20~30 sessions, under 10 sessions to effect sizes according to the total program sessions.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observed in order of whether there were 10~20 members, 20~30 members, under 10 members to effect sizes, according to the total subject members. Lastly, after coding the published years to integers, inputting variables and then doing the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published years, there were also clear improvements observed on the effect siz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