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KCI 등재
애착외상을 경험한 가정위탁 아동에 대한 아동중심 놀이치료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Child-Centered Play Therapy for a Child in Foster Care Suffering from Attachment Trauma
이은아김 ( Eunah Kim Lee )
UCI I410-ECN-0102-2017-180-000140947

본 연구는 부모로부터의 학대, 방임, 유기로 애착외상을 경험하고 가정위탁보호로 의뢰된 만 4세남아에 대한 사례연구이다. 아동은 극단적인 공격 행동을 반복함으로 타인과의 관계에 어려움을 초래하였고, 신체 및 정서적 학대에 대한 기억과 두려움을 호소하였으며, 수면 및 배변문제 등의 어려움으로 내원하였다. 이를 위하여 치료적 관계가 변화를 위한 중추적인 치료적 요소라고 보는 아동중심 놀이치료를 치료적 접근으로 중재하였고, 부모상담을 통해 위탁모에 대한 심리·교육적지원을 병행함으로 위탁모와 아동간의 건강한 애착관계 경험을 조력하고자 하였다. 본 사례는 놀이치료 총 43회기, 부모상담 총 15회기, 그리고 두 달 후의 추수회기 1회기로 진행되었다. 치료과정을 통하여 주호소 문제들의 증상 소멸 및 감소가 나타났고, 외상으로 인해 균형을 잃었던 발달이 좀 더 안정적으로 복귀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본 연구는 아동중심 놀이치료 중재를 기반으로 심리적 회복을 찾아가는 아동의 역동적인 놀이치료 진보과정과 놀이주제를 심도 깊게 분석하고 개념화함으로서 애착외상을 경험한 가정위탁 아동에 대한 치료적 함의를 제공한 것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case study sought to provide therapeutic support for a child in foster care suffering from attachment trauma. The client, a 4-year-old boy, was referred to play therapy due to extreme levels of aggressiveness, anxiety, difficulties in sleeping, and refusal to engage in potty training. Child-centered play therapy was employed as the therapeutic intervention, and the foster care mother also received psychoeducational support which focused on building her child rearing skills and helping her create a secure relationship. The treatment plan consisted of 43 play therapy sessions, 15 parent consultation sessions, and 1 follow-up session after two months. The process of play therapy progress and themes were analyzed, and the findings provide implications for mental health professional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