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12
216.73.216.112
close menu
폐조직 동결절편시 diluted embedding medium과 infusion에 따른 슬라이드의 최적성 평가
박주혁 , 최영화 , 이석정 , 이정희 , 최해영
UCI I410-ECN-0102-2017-510-000161626
이 자료는 4페이지 이하의 자료입니다.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구매가 불가능한 자료입니다.

배경: 조기 폐암의 진단이 늘어남에 따라 폐조직의 동결절편 검사의뢰가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더불어 정확한 동결절편 진단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파라핀 포매로 제작하는 일반적인 슬라이드와 비교하여 동결절편검사는 신속히 슬라이드 제작을 하면서 조직의 형태학적인 보존 또한 잘 유지하여 판독시 어려움을 줄여야 한다. 그중 특히 폐조직의 동결절편 슬라이드 제작이 대표적인 예이다. 폐조직은 조직의 특성상 기관지나 세기관지를 통하여 포르말린을 주입하지 않으면 좋은 조직 슬라이드를 제작하기 힘들다. 동결절편에서도 마찬가지로 공기가 빠져나간 작은 폐조직의 병소는 슬라이드 제작도 용이하지 않을뿐더러 조직의 압축으로 진단에도 어려움을 주고 있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고자, 본원에서는 동결절편검사에서 폐조직의 형태학적 유지와 질 높은 슬라이드 제작 및 정확한 진단을 위하여, 동결절편시에 사용하는 embedding medium을 이용하여 폐조직 확장 기법을 고안하게 되었다. 방법: 실험대상으로는 기흉이나 GGO Lesion으로 수술을 받은 환자 중 10례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embedding medium injection 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embedding medium을 희석한 5군(only embedding medium, embedding medium : saline 1:1, 2:1, 2:3, only saline )으로 나누어 폐 조직에 23gauge 주사침을 이용하여 주입후 비교분석 하였다. 그리고 Frozen section과 Permanant section의 결과 비교와 동결절편 제작 소요시간을 측정, 비교 분석하여 보았다. 결론: 점성이 있는 기존의 embedding medium만을 주입한 경우는 가는 주사침으로는 주입이 되지 않아 굵은 주사침을 사용함으로서 결과적으로는 검체가 손상되고 형태의 보존 또한 어려웠다. 이에 비해 embedding medium과 saline을 2:3으로 희석한 경우에는 주입이 용이했고 슬라이드상에 조직의 형태학적 구조가 가장 원형에 가깝게 유지 되었다. 염색상으로도 큰 변화는 없었으나 조직이 팽창되어서 검체를 동결하는 시간이 다소 지연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대한 보완책으로 알루미늄 재질로 된 tissue molding plate를 제작하였고 이를 활용하여 검체의 동결시간을 기존보다 약 2~3분가량 단축할 수 있었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