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3
216.73.216.213
close menu
Malaria P. ovale (난형 말라리아)에 대한 양성 사례보고
송지영
UCI I410-ECN-0102-2017-510-000161373
이 자료는 4페이지 이하의 자료입니다.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구매가 불가능한 자료입니다.

배경(Background) ‘학질’이라고 불렸던 말라리아는 적혈구나 간세포 내 플라스모디움(plasmodium) 감염으로 발생하는 급성 열성전신 감염증이다. 세계보건기구(WHO) 발표에 의하면, 2010년 전세계적으로 2억천 6백만명의 감염자가 있었으며 이들 중 65만5천명이 사망했다고 보고하고 있다. 인체에 감염되는 말라리아는 총 네 종류로 삼일열원충(MalariaP. vivax), 열대열원충(Malaria P. falciparum), 사일열원충(Malaria P. malariae), 난형열원충(Malaria P. ovale)이며, 이 중 본 검사실에서 보고하고자 하는 양성 case에서 나타난 난형열원충은 삼일열 말라리아와 유사한증상을 나타내며 주로 열대 아프리카 지역에서만 감염이 보고되었으나, 해외여행, 출장, 등의 이유로 인하여 국내에서도 드물게 보고되고 있다. 현재 원내에서는 삼일열원충(Malaria P. vivax), 열대열원충(Malaria P.falciparum), 사일열원충(Malaria P. malariae), 난형열원충(Malaria P. ovale) 총 4종의 감별검사를 시행하고 있다. 본 검사실에서는 2015년 1월부터 9월까지 검사실에 의뢰된 말라리아 환자 검체 중 1월경에 난형열원충(Malaria P. ovale) 양성으로 판정받은 25세 남성환자에 대한 사례보고를 하고자 한다. 증례(Case) 아프리카 지역으로 봉사활동을 다녀온 25세 남성환자로 고열, 근육통 등 Malaria 감염으로 의심되어 Malaria종별검사가 의뢰되었다. 의뢰된 임상검체(whole Blood)는 자동 핵산 추출장비를 이용하여 DNA를 추출하였다. 추출한 DNA를 Malaria 4종의 primer(시발체)를 이용하여 PCR (Polymerase Chain Reaction,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진행한 후, 증폭 산물은 전기영동법을 통하여 결과를 확인하였다. 결론(Conclusions) 전기영동 상으로 확인했을 때, 89 bp에서 증폭된 산물이 나타나 난형열원충(Malaria P. ovale) 양성으로 판정되었고, 본 검사실에서 시행하고 있는 Malaria 선별 PCR 검사를 같이 진행한 결과 165 bp에서 증폭된 산물이 나타나이 또한 양성으로 판정하였다. Gene sequencing을 통한 최종 confirm 결과에서도 Malaria P. ovale와 100%일치도를 보였다. Malaria는 대부분 열대성 기후지역에 분포하여 100여 개국에서 유행지를 형성하고 있으며, 해외여행 후 말라리아의 치료 및 여행전 예방화학요법 시행을 위해 각국의 약제 내성 정도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