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에서는 해외 한국학 전공 수업에서의 문학교육 커리큘럼을 제언하고자 한다. 유럽 한국학 연구의 중심이었던 프랑스 대학들에 대한 논의는 종종 이루어져 왔는데 그중에서도 2014년 신설된 리옹 3대학의 한국어학과를 중심으로 커리큘럼을 구성해보고자 한다. 프랑스 한국학의 인문학적 전통을 존중하면서도 리옹3대학만의 학문적 전통을 고려하고 설문 조사를 통해 수집한 학습자들의 특질을 포함하여 상기의 학습 목표들을 통합적으로 성취할 수 있는 커리큘럼을 확정했다. 이를 언어 교육, 전통문화 교육, 문화콘텐츠 교육, 그리고 비교문학 교육을 위한 고전문학 교육 커리큘럼으로 나눌 수 있다. 이에 적용될 텍스트로는 설화를 위시한 고전서사 텍스트를 선정하였다. 그중에서도 언어적 측면과 문화적 측면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문학 커리큘럼으로서 문화콘텐츠 교육은 가장 흥미로울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심청 설화 읽기를 바탕으로 이를 실제 수업에 적용해보았다. 이를 통해 다양한 방식의 문학교육 커리큘럼을 제안하고 이것이 보다 탈경계적이고 역동적인 한국학 연구로 확장되는 데에 기여하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literature education curriculum in oversea Korean study in France. This essay will focus o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t University of Jean Moulin based on the humanistic tradition of Korean study in France. I will consider these three elements for completing specific curriculums:The tendency of Korean studies in France, specific educational goal and the needs of students. Four practicable education modules with Korean tales as follows:intensifying language education, comprehending classic culture education, cultural contents education, and comparative literary education. I applied the classic culture education and cultural contents education on the conference of University of Jean Moulin. Diverse research results established from well-organized education curriculum will facilitate the future-trans-cultural Korean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