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223.213.234
18.223.213.234
close menu
}
KCI 등재
이스라엘 왕 므나헴과 베가의 분열 이스라엘과 그들의 국제 관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Divided Kingdoms under Menahem and Pekah in Ancient Israel and Their Political Relationships with Neighboring States
김태훈 ( Tae Hun Kim )
UCI I410-ECN-0102-2017-230-000067688

본 논문은 아시리아 에포님 역대기와 왕실문서들, 그리고 관련 성서본문들을 분석함으로써 베가의 통치연한 문제, 므나헴과 베가의 관계, 분할 이스라엘의 존재 가능성, 베가의 통치 영역, 그리고 르신의 역할을 탐문한다. 본 논문은 기본적으로 문헌연구이다. 아시리아의 에포님 역대기와 아시리아 왕들의 명각들은 당시의 국제관계를 해명하고 이스라엘의 정치-외교를 재구성하는 데 필수불가결한 자료이다. 본 논문은 먼저 아시리아의 에포님 역대기(Eponym Chronicles)와, 아람-다마스커스 왕 르신, 사마리아의 므나헴, 유다의 아하스, 그리고 이스라엘의 베가의 활동을 기술하는 티글랏필에셀(745-726년)의 아시리아 역사본문들을 파악하고 분석한다. 그 다음, 성서의 보고와 아시리아의 문서의 증언들을 비교하고 종합한다. 한편 성서는 베가의 통치기간에 대해서 상충되는 자료를 제공한다. 베가가 20년 통치했다고 하면서도 동시에 브가히야 이후 통치했다고 말한다. 731년부터 20년을 계산하면 751년경이 되는데, 이 시기는 브가히야와 므나헴은 물론 여로보암(II) 통치 후반기에 이른다. 브가히야 이후에 처음 통치했다고 하면 베가에게는 5년도 할당되기 어렵다. 본 논문의 논지는 다음과 같다. 베가는 브가히야를 제거하고 사마리아에 왕이 되어 수년간 다스리기 전에, 길르앗 지방을 중심으로 십 수 년 간 이스라엘의 일부 지역을 장악하고 있었다. 베가의 20년 통치는 이 시기를 합한 것이다. 므나헴은 아람 왕 르신의 지원을 받는 베가에 의해 자신의 통치권이 위협받자 아시리아의 도움을 요청했다. 므나헴이 팔레스틴에 나타난 티글랏필에셀에게 선물을 바친 것(왕하 15:20)도 베가에 대한 우위와 자신의 정권안정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었다. 베가는 반아시리아 세력의 우두머리인 르신의 지원을 받아 아람 국경과 접한 이스라엘의 북부지역을 통제할 수있었다. 베가에 대한 티글랏필에셀의 732년 징벌 원정 이후 이스라엘은 이미 많은 영토와 주민을 포로로 잃은 작은 나라로 존재하게 되었다.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formation of anti-Assyrian movement in Syria-Palestine during the rule of Tiglath-pileser(Ⅲ), and especially reconstructs relations between Rezin and Israel, and relations between Menahem and Pekah. For the purpose this article analyzes the relevant literary sources. Assyrian inscriptions are incompatible data. The Eponym Chronicles indicates the locations of Assyrian main army in Syria-Palestine; The annals and summary inscriptions inform Tiglath-pileser’s military activities in details. Biblical materials are also main sources, but gives two ways of counting of Pekah’s ruling. One way is to allow 20 year ruling (2 Kings 15:27) and another way is to allow 5 or 6 years. Both ways are acceptable if Pekah ruled at the certain part of Israel while Jeroboam, Menahem and Pekaiah ruled in Samaria. Based on biblical evidences and relevant Assyrian inscriptions,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length of Pekah’s ruling, the relations of Menahem and Pekah, the possibility of divided Israel, the ruling area of Pekah, and the role of Rezin in the division. The article suggests followings. Pekah ruled some northern part of Israel before he became the king in Samaria. Pekah was the rival ruler of Menahem and Pekaiah. Pekah’s twenty-year ruling as king includes this rival period. The event that Menahem sent heavy gifts to Tiglathpileser( 2 Kgs 15:29) is to secure his ruling from threat of the competitor. Pekah could rule the area of Gilead with the support of Rezin, king of Aarm-Damascus. During the last days of Pekah Israel lost some northern parts of its territory and a lot of people were delivered in exile to Assyria. After 732 BCE Israel existed as a small country having regions around Samaria and having some southern part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