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유아 숲 체험활동의 효과에 관한 연구결과들을 메타분석에 의해 종합하고, 효과적인 프로그램 구성 및 운영을 위한 지침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분석을 위해 국내에서 수행된 연구 30편을 선정하고 동질성 검정후 고정효과모형을 적용하여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유아 숲 체험활동의 전체효과크기는 0.797로 나타났으며 Cohen의 효과크기 해석에 따라 큰 효과크기를 나타내었다. 중재변인별 효과크기는 매일형이 가장 큰 효과를 나타내었으며(ES=0.939), 활동기간별 효과크기는 4개월 이상이 큰 효과를 나타내었다(ES=0.972). 활동집단별 효과크기는 10-20명이 가장 큰 효과크기를 나타내었으며(ES=0.980), 활동시간별 효과크기는 180분이 가장 큰 효과크기를 나타내었다(ES=1.318). 마지막으로 유아 숲 체험활동의 종속변인별 효과크기는 다중지능이 가장 큰 효과크기를 나타내었다(ES=0.95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critically the effects of forest experience on young children using meta-analysis. To test this, a total 30 studies were identified, and mean effect size of variables was calculated by applying Fixed-effect model. As a result, the overall effect size of forest experience on young children was 0.797. The effect sizes of daily type as a program type had an effect than experience type at the level of .939. And also the effect sizes of period program (more 4month), number of participants (10-20people), program time (180minute), dependant variables (multiple intelligence) yield effects 0.972, 0.980, 1.138 and 0.957 respectively. As the result, this study implies a way which is to derive effectively further studies on the forest experience on young childr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