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119.125.5
18.119.125.5
close menu
}
KCI 등재
DMZ 인근지역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대성산, 주파령)의 식물상 및 식생군집분석
Analysis of the Flora and Vegetation Community in Forest Genetic Resources Reserves (Mt. Daeseng, Juparyeong), Near the DMZ
손호준 ( Ho Jun Son ) , 김영설 ( Young Sol Kim ) , 안치호 ( Chi Ho Ahn ) , 박완근 ( Wan Geun Park )
DOI 10.14578/jkfs.2016.105.1.19
UCI I410-ECN-0102-2017-520-000075410

본 연구에서는 대성산과 주파령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식물상과 군집분류를 통해 민간인통제선 내 산림의 교란정도와 임분의 발달 상태를 파악하여 보전 및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조사지역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은 98과 311속 507종 6아종 65변종 10품종 총 588종류가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대성산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에 분포하는 자생식물은 92과 290속 459종 6아종 58변종 9품종 총 532종류가 확인되었으며, 주파령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에 분포하는 자생식물은 94과 259속 364종 6아종 50변종 8품종 총 428종류가 확인되었다. 한국특산식물은 대성산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에서 21종류, 주파령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에서는 14종류가 생육하고 있었다. 희귀식물은 대성산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에서는 26종류, 주파령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에서는 10종류가 확인되었다. 대성산과 주파령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에서 각각 58개의 표준지에서 조사된 식생 자료를 바탕으로 Cluster 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성산 지역에서는 중생혼합림, 신갈나무-당단풍나무군집, 신갈나무-물푸레나무군집으로 총 3개의 대표군집으로 분류되었으며, 주파령 지역에서는 신갈나무-활엽수림군집, 물푸레나무-활엽수림군집, 신갈나무군집, 참나무류군집으로 총 4개의 대표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전반적으로 대성산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군집들이 주파령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군집보다 종다양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성산 지역에서는 중생혼합림의 종다양성지수가 1.59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주파령 지역에서는 물푸레나무-활엽수림군집의 종다양성지수가 1.31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조사 결과는 향후 비무장지대와 그 인근지역의 보전 및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flora and community classification in the Forest Genetic Resources Reserves (FGRR) at Mt. Daeseng and Juparyeong to understand the degree of disturbance and the state of forest stand development within the Civilian Control Line (CCL) and to provide baseline data for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the vascular plants dispersed throughout the study site, there were 98 families, 311 genera, 507 species, 6 subspecies, 65 varieties, and 10 forms, for a total of 588 taxa. Of these, 92 families, 290 genera, 459 species, 6 subspecies, 58 varieties, and 9 forms, for a total of 532 taxa of native plants, were determined to be dispersed around the FGRR at Mt. Daeseng, and 94 families, 259 genera, 364 species, 6 subspecies, 50 varieties, and 8 forms, for a total of 428 taxa of native plants, were confirmed to be dispersed around the FGRR at Juparyeong. There were 21 taxa of endemic Korean plants growing in the FGRR at Mt. Daeseng, with 14 taxa growing in the FGRR at Juparyeong. In terms of rare plants, 26 taxa were confirmed in the FGRR at Mt. Daeseng, and 10 taxa were confirmed in the FGRR at Juparyeong. A Cluster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vegetation data taken from 58 sample plots in each FGRR. The results showed a total of three representative community classifications from Mt. Daeseng: mixed mesophytic forest, Quercus mongolica.Acer pseudosieboldianum, and Quercus mongolica.Fraxinus rhynchophylla communities. Four representative community classifications were observed from Juparyeong: Quercus mongolica.broad leaved forest, Fraxinus rhynchophylla.broad leaved forest, Quercus mongolica, and Quercus communities. On the whole, the species diversity of the communities in Mt. Daeseng FGRR was greater than for the communities in Juparyeong FGRR. At Mt. Daeseng, the mixed mesophytic forest had the highest species diversity index at 1.590, while at Juparyeong, the Fraxinus rhynchophylla.broad leaved forest had the highest species diversity index at 1.319. These study results should serve as useful baseline data for futur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the demilitarized zone (DMZ) and the surrounding area.

서 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Appendix 1. The list of vascular plants in Mt. Daeseng and Juparyeong.
Appendix 1. Continu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