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한국의 개념세계와 언어체계에서 교수-학습 관련 개념들은 ``교육``이라는 단일 개념을 중심으로 통합되어 있는 상태이다. 다양한 관련 개념들이 공존했던 19세기 후반의 사유세계를 고려한다면, 근대의 시기에 적어도 교수-학습에 대한 사유세계에 주목할 만한 변화들이 발생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그와 같은 변화에 대한 예비연구의 성격을 갖는 것으로, 근대 이전의 사유세계에 존재했던 관련개념들의 용례와 의미를 일별하고자 했다. 아울러 이를 위해 유가의 통치사유로부터 그에 부합하는 교수개념들의 가능유형을 연역해낸 후, 이 가능유형들이 조선의 대표적 관제기록인 『조선왕조실록』에 등장하는 구체적인 개념들과 부합하는지의 여부를 분석하였다. 유교의 사유체계에는 첫째, 사대부들이 주체가 되어 왕자(王者)를 대상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교육관련 행위유형이 존재한다. 『조선왕조실록』에 등장하는 ``보도(輔導)``, ``보양(輔養)``, ``계옥(啓沃)``은 이 행위유형을 지시하는 개념들이다. 둘째, 군주가 주체가 되어 국가에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그 대상을 사대부 및 차기 군주로 하는 행위유형이 존재한다. 이를 지시하는 개념으로 ``교양(敎養)``과 ``교육(敎育)``이 확인되었다. 이 두 개념은 구체적 교수행위는 사대부들이 담당하며 그 물리적 조건의 마련을 군주가 담당한다는 공통점을 가진다. 반면 ``교육``의 경우 그 대상이 사대부에 국한된다는 측면에서 ``교양``과는 차이를 보였다. 셋째, 일반 민중을 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습속을 정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행위유형이 존재한다. 이 행위의 주체 역시 군주와 사대부인 바, ``교화(敎化)``, ``덕화(德化)``, ``무육(撫育)``이 이에 해당하는 개념들이었다.
Nowadays, concepts related to teaching-learning in system of thought and language in Korea are combined with single concept of ``education`` as the center. Considering system of thought in 19th century in which various concepts related it had coexisted, we can think that noticeable some change have occurred at least in that system. This study is a pre-research into the change, try to glance at examples and meanings of those concepts that had been in system of thought in premodern world. For it, forms of teaching were deduced from Confucianism and studied whether those forms accorded with concrete concepts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In Confucianism`s system of thought, firstly there is a form related teaching that has the scholar-gentry class as the subject, the Prince as the object. ``Counseling(輔導)`` and ``Irrigation(啓沃)``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correspond with this form. Secondly, there is a form that has the Prince and the scholar-gentry class as subject, the crown prince and another the scholar-gentry class as object. ``Forming(敎養)`` and ``Breeding(敎育)`` correspond with this form. In these concepts, the scholar-gentry class is in charge of substantive teaching, the Prince is in charge of helping them by preparing the condition of it. But ``Breeding`` is distinguish from ``Forming``, because the crown prince is not object of the concept. Thirdly, there is a form that has also the Prince and the scholar-gentry class as subject, the people as object. ``Edification(敎化)`` and ``Tending(撫育)`` correspond with this fo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