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1994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도입된 이후 다양화, 자율화, 간소화를 지향하며 수차례 대학입학전형개혁이 추진되어 왔으나 사교육 유발, 기득권층을 위한 전형, 입시경쟁교육 심화 등 비판적 여론이 지속되는 현실에 주목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연구(KELS) 1-8차 자료를 사용하여 대학입학전형을 정시 일반, 수시 일반, 입학사정관전형으로 구분하고 대학입학전형 선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정시 일반전형 대비 수시 일반전형의 비교에서 성별, 내신 등급, 논술사교육여부, 각종대회수상여부는 수시 일반전형을 통한 입학가능성에, 수능성적과 재학고교의 소재지가 특별시와 중소도시인 경우, 그리고 사교육비는 정시 일반전형을 통한 입학가능성에 유의한 효과를 발휘하였다. 둘째, 정시 일반전형 대비 입학사정관전형의 비교 결과, 내신 등급, 논술사교육여부, 동아리(임원)경험여부, 각종대회수상여부, 교사영향력은 입학사정관전형을 통한 입학가능성을 높이는 반면, 수능성적과 출신고교의 소재지가 특별시인 경우는 정시 일반전형을 통한 입학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수시 일반전형 대비 입학사정관전형의 비교에서는 대체로 학교교육경험 관련 변인이 입학사정관전형을 통한 입학가능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입학전형의 사회적·계층적 함의를 논의하고 입학사정관전형을 계승한 학생부종합전형을 비롯하여 대학입학전형 제도의 향후 발전 방향 등을 제언하였다.
Using the 1st-8th wave data from the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this study explores the factors of university admission types. The multinominal logit model was performed separately on regular admission, rolling admission, and admission officer system. First, in comparing regular admission to rolling admission, gender, high school record, participation in private essay writing tutoring, award records are significantly effective on the likelihood of university admission, using rolling admission. When regular admission was used, SAT score and graduating from high school in Seoul or micropolitan, and private education expenses were associated with likelihood of entrance. Second, when regular admission was compared with admission officer system, high school record, private essay writing tutoring, experience of club officers, award records, teacher`s influence were positively related to likelihood of entrance through admission officer system, while SAT score and graduating from high school in Seoul had positive effect on likelihood of entrance through regular admission. Lastly, when rolling admission was compared to admission officer system, it was proven that the factors related to school experience were likely to increase possibility of entering university through admission officer system, even though there were a few variables that can distinguish rolling admission from admission officer system. Based on the findings, we discussed the implication of social and class characteristics of each university admission types and ways to improve university admission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