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평가는 교수프로그램의 질적 관리를 목적으로, 학습자로부터 강의자의 교수-학습활동 정보를 수집하여 교수프로그램에 대해 가치판단을 하는 의사결정이다. 강의평가도구는 다차원 요인으로 구성되어야 하며, 다차원 요인을 증명하는 구인타당도검정은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강의평가도구의 요인을 이론적으로 고찰하며, 강의평가도구의 구인타당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세부적인 연구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강의평가도구 요인의 이론적인 연구이다. 선행연구 분석결과, 필수요인은 학습자, 강의계획 및 강의내용, 강의기술 및 교수설계, 강의자태도, 과제 및 평가, 강의총평으로 제시되었다. 미국명문대학교 분석결과, 핵심요인은 교수 및 강의, 강의자정보, 교육과정, 학습자정보, 학업성취, 토론으로 나타났다. 한국명문대학교 분석결과, 중요요인은 강의만족도, 평가 및 과제물, 강의계획 및 강의내용, 교수방법, 강의자태도, 강의자정보, 성취도, 학습자정보였다. 둘째, 강의평가도구 구인타당도 선행연구의 이론적인 연구이다. 선행연구 문제점을 분석결과, 탐색적·확인적 요인분석의 2단계 방법, 탐색적·확인적 요인분석에서 다른 피험자자료 사용, 탐색적 요인분석에서 주축요인분석방법과 사각회전방법이 권유된다. 셋째, S대학교 강의평가도구 구인타당도의 실증적인 연구이다. 탐색적 요인분석에서 수렴타당도와 판별타당도는 요인분석과 상관계수법으로 검정했다. 확인적 요인분석에서 수렴타당도는 요인부하량, 개념 신뢰도, AVE로 했으며, 판별타당도는 AVE와 잠재변인간 상관제곱비교, 가설(Φ=1)검정, 자유모형과 제약모형간 Δχ(2)검증으로 했다. 구인타당도는 6개요인 중에서 4개요인만 합격되었다. 완벽히 만족되지 못한 원인은 유사한 요인구성, 요인의 하위문항간 이질성, 문항내용의 복잡성, 요인과 하위문항간 부조화로 파악된다. 넷째, 강의평가도구 제작의 제언점 연구이다. 본 연구는 바람직한 요인으로 자기평가, 수업내용, 수업방법, 강의자태도, 평가, 강의만족도를 제시했으며, 요인의 하위문항들도 제시했다. 그리고 내용타당도검정, 구인타당도검정, 영향력요인 사후조정검정을 제안했다. 본 연구는 대학교에서 강의평가도구 개발과 구인타당도검정의 학문적인 연구모델로 사용되어서 대학교의 실제적인 활용도에 기여하도록 했다.
The course evaluation instrument must be consisted of multi-factors and the construct validity that verifies them must be certifi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eoretically and verify the construct validity empirically. The concrete researche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oretical research of factors, the essential factors were suggested by analysis of advanced researches(learner information, instruction plan & instruction content, lecture technic & method, instructor attitude, assignment & evaluation, overall rating of course), by analysis of 9 Universities in USA(teaching & lecture, instructor information, curriculum, interaction with students, comment, evaluation & assignment, test & material, student information, student achievement, discussion), and by analysis of 9 universities in Korea(lecture satisfaction, evaluation & assignment, lecture plan & instruction content, teaching method, instructor attitude, instructor information, achievement). Second, as a result of theoretical analysis of the advanced construct validity research, the psychometric methods such as 2 step method of the EFA & CFA, the method of different datum use in EFA & CFA, the methods of principal axis factoring and oblique rotation in EFA were suggested. Third,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of construct validity of course evaluation in S university, the only 4 factors in 6 factors came up to the standards of EFA and CFA. The methods used in convergent·discriminant validity of EFA were factor analysis and φ. The methods used in convergent validity of CFA were factor loading, CR, and AVE. The methods used in discriminant validity of CFA were the comparison between AVE and the squared coefficient of correlation of factors, the hypothesis(φ=1) test, and the Δχ(2) test. Fourth, as a result of suggestions, this study recommended desirable 6 factors, item contents, psychometric construct validity method. And this study suggested to be utilized as a model research for course evaluation instrument development and construct validity in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