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단열을 포함하는 불포화 암반에서의 지하수 유동 흐름을 예측하기 위한 2차원 수치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특히, 불연속 단열망 모델링(Dscrete Fractured Network, DFN)을 통하여 도출된 투수계수의 분포를 나타내는 k-field를 모델링 입력변수로 적용하였다. 투수계수 차이는 불포화대에서 지하수의 이동속도 차이를 야기시키는 중요한 인자로 적용되었다. 연구지역의 지표 토양층으로부터 지하 대수층까지의 불포화대 깊이를 적용하여 지하수 유동 모델링의 초기조건을 실제와 유사하게 설정하였다. 강우의 지표 침투율은 인공구조물과 자연 토양층의 침투율 차이를 적용하여 실제 불포화 암반을 거쳐서 포화대까지 지하수의 이동흐름을 해석하고 시각화하였다. 특히, 오염물질의 이동 시작점이 될 수 있는 인공구조물의 하부에 모니터링 지점을 설정하여 실제 오염물질원이 지하수에 용해되어 불포화대를 이동할 때의 경로를 예측 하였으며 중력방향인 직하부로 이동하는 것을 확인되었다.
We present the results of two-dimensional numerical simulations predicting the flow of groundwater in a fractured unsaturated zone. We applied the k-field distribution of permeability derived from discrete fracture network (DFN) modeling as the hydraulic properties of a model domain. To model an unsaturated zone, we set the depth from the ground surface to the underground aquifer. The rate of water infiltration into the unsaturated zone was divided into two parts, an artificial structure surface and unsaturated soil zone. The movement of groundwater through the unsaturated zone was simulated with particular emphasis on contaminant transport. It was clearly observed that the contaminants dissolved in groundwater transported vertically from the ground surface to the saturated z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