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학문과 사상이 그 시대적 상황과 필연적(必然的) 관련에 의하여 성립된다고 볼 때, 정치적, 사회적 혼란기인 춘추전국시대를 살았던 장자(莊子)가 부정적, 초월적 태도를 가지고 있었던 것은 오히려 당연한 일일 것이다. 그럼에도 장자의 이상적(理想的)인 삶은 자연(自然)의 이치에 순응하여 살아가는 것에 두고 있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왜냐하면 이는 곧 도(道)를 체득(體得)하는 체도(體道)의 삶을 강조했으며, 그가 이상적 인간상으로 말한 ``지인(至人)``, ``진인(眞人)``, ``신인(神人)``, ``성인(聖人)``은 모두 유위(有爲)를 초월한 사람이기 때문이다. 오늘날 우리는 시대의 흐름과 더불어 각종 제도와 규범, 법, 문화현상 등으로 이루어진 다양한 사상과 가치관에 구속되거나 또는 함께 향유하는 삶을 이루고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인간다운 삶, 건강한 삶, 아름다운 삶을 살아가기 위해서 우리는 물질적 풍요 속에서 신체적 건강에 만족하는 것이 아니라 정신적 평안과 사회적 안녕을 먼저 확보해야 하는 것은 아닌가. 철학실천(哲學實踐)은 ``철학하기``다. 따라서 철학상담(哲學相談)도 ``철학하기``와 다르지 않다. 철학상담은 전문적으로 철학적 훈련을 받은 사람이 내담자가 스스로 ``철학하기``를 하도록 도와주는 대화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철학상담은 일반적인 심리상담, 정신상담을 통해 이루어지는 현상적인 관찰과 답변에 머물지 않는다는 점이 철학을 실천하는 철학상담자에게 맡겨진 임무이자 철학상담의 목적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오늘날 현대 사회가 안고 있는 정신적 위기 및 정체성의 상실 등 이른바 ``정신과 마음의 병``, ``예방`` 등을 철학의 도움으로 치유할 수 있는가의 문제를 『장자』를 기본 텍스트로 해서 모색하고자 했다. 이는 철학상담으로의 가능성과 확장성도 염두해 둔 것이기도 하다. 또한 오늘날 철학의 실천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단지 이론철학이나 순수철학의 틀을 벗어나고자 한 면에 중심을 두고자 했다.
When see that all learning and though are concluded by necessary connection with the period circumstance, political, it may be the rightful matter preferably that Zhuangzi that lived the warring states period that is social confused stage had negatory, aloof attitude. Nevertheless, ideal life of Zhuangzi is truth that know everybody that put that live adapting to the order of nature. This emphasized life of empirical morality that get from experience Dao soon, and because is people who ``zhiren``, ``zhenren``, ``shenren``, ``shengren`` that he speaks in ideal image of man transcend all ``youwei``. Today, we will be constrained in various though and sense of values which consist of various systems and rule, law, culture phenomenon etc. along with flowing of age or accomplish life that enjoy together. Then, should not we secure first spiritual peace and social peace not that is satisfied with physical health in material plenty to live life, healthy life, beautiful life that becoming to human? Philosophy practice both ``To do philosophy``. Therefore, philosophy consultation is not different from ``To do philosophy``. Philosophy counseling can be called process of conversation that a person who have philosophical training specially helps so that visitor says ``To do philosophy``. Do not stay on observation and reply that is present antagonism who philosophy consultation attains through general mind consultation, mind consultation can see that is purpose of duty and philosophy consultation devolving to philosophy consultant who point practices philosophy. This research wished to grope problem of that today modern society can cure by help of philosophy knowing so-called ``Disease of mind and mind`` such as loss of spiritual crisis and identity, ``prevention`` etc. because make 『Zhuangzi』 basis text. This minds possibility and extensity of philosophy consultation. Also, today, practice of philosophy wished to put the center in page that wish to escape frame of only theory philosophy or metaphysics in required circumst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