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9.172
18.97.9.172
close menu
Accredited
전란의 상처 "잡혀간 여자"(被擄女)의 기억 -연행길의 진자점 계문란 사적에 대한 조선 지식인의 추모 의식-
Journal of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 Memory of a Woman Taken as the Trauma of War -focused on Choson people`s memorial consciousness about the historic remains of captive Ke-Munlan of sub-Yangtze River at the Zhenzi Dien in the rout of goin
윤주필 ( Ju Pil Yoon )
한국한문학연구 vol. 61 257-298(42pages)
UCI I410-ECN-0102-2017-810-000079640

명말청조에 양산된 여성 < 題壁詩 >는 후대인의 화운시를 통해 기억의 역사로 유전되고 문학적 제재로 활용되어 다양한 파생작을 낳았다. 1678년 진자점의 계문란 사적은 200년간 조선인의 연행길에서 지속적으로 기억과 추모의 대상이 됐다. 지금까지 발견된 총 59건의 연행록 자료에는 그에 대한 추모 시문을 포함하고 있다. 조선 사신들은 계문란 사적을 대개 두 가지 시선으로 이해했다. 그 하나는 ‘잡혀간여자’의 구원과 환향의 꿈을 부각시키는, 또 하나는 ‘팔려간 신부’의 고난과 그 극복 방안을 상상하고 모색하는 경향이다. 전자는 피로 상황에 대한 동정론이, 후자는 매춘과윤락의 위기에 대한 윤리론의 성격을 띤다. 계문란의 실제 사적은 발생 30년을 넘기면서 사라지기 시작했다. 한 세기가 지나면서부터는 객점의 위치조차 확인되기 어려웠다. 그로부터 계문란의 제벽시와 조선인들의 추모 행위를 엮어서 詩話로 구성하고, ‘팔려간 신부’의 최후 상황을 상상하면서 서사성을 높이는 또 하나의 경향이 생겨났다. 계문란 사적의 200년 수용사에서 조선인들은 피로녀의 함의를 다양하게 변주했다. 피로녀는 ‘잡혀간 여자’에서 ‘팔려간 신부’로 전환되어 이민족 가정에 편입되기도 하지만, 성노예로서 ‘윤락한 여자’가 되는 고난을 겪어야만 하는 것으로 이해됐다. 또 계문란의 염원처럼 속량되어 오는 것을 상상했지만 그것은 기본적으로 꿈같은 공상으로 치부됐다. 설사 운 좋게 돌아온다 하더라도 현실적으로는 적지 않은 후유증에 시달려야했다. ‘돌아온 여자’에 대한 윤리적 굴레와 사회적 압박이 그들을 짓눌렀다. 그 여러 경향이 포로문학의 다양한 주제를 상상해 내는 과정이기도 했다. 전란의 상처를 둘러싼역사의 기억과 문학적 표현이 오늘날에도 여전히 중요한 자산이다.

The poetry written on the wall, was growing largely at the end of Ming and early of Ching, has handed down as a history of memory and a meterials of literature through the poetry composed in response by later generations. The historic remains of captive Ke-Munlan at the Zhenzi Dien of Hua Bei occurred in the year of 1678 had become the target for memorial during two hundreds years continually by Choson’s envoies to Yan Ching. In the total 59 cases discovered untill now there are a great amount of the verse and prose of memorial for Ke-Munlan’s remains by Choson’s Envoies. They understood it by two sight generally. One has a tendency to give prominence to the relief of the woman taken and the dream of returning home, another has a tendency to image the hardship of the bride bartered and seek for her solution to overcome. While the one is close to the theory of sympathy for the captive conditions, the other has a sensitive sight close to the theory of ethics agianst the crisis of prostitution. Over the years, the third tendency has been created, that they composed a tale of poetry with her remains and the prose in response, imagined the last condition of bride bartered, and intensified the narrativity of the tale. That all was a process to compose various theme of the captive literature.

1. 서론
2. 계문란 사적의 문학지리학과 조선 사신들의 관련 자료
3. 계문란 제벽시의 해석 시각과 조선 사신들의 수용 양상
4. 계문란 사적의 서사화와 포로 문학의 주제 의식
5.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