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논지는 UC Berkeley의 (1) Sather Tower (2) 종 (3) 소리에 나타난 전근대성(Premodernity), 근대성(Modernity), 그리고 탈근대성(Postmodernity)의 요소들을 한국 기독교와 연관시켜 볼 때에, 한국 기독교는 근대성의 성향이 강하여 교회의 발전을 도모하지 못하고 있으므로, 수직적인 근대성에 물든 한국 기독교1를 수평적인 기독교로 변화시키며, 4G 해석학(Hermeneutics)을 실현하는 Potluck 기독교를 이루고, 탈근대(Postmodern) 교회의 유형을 지니고 있는 이머징 교회(Emergent Church)를 평가하고 성육신 교회로 발전시키므로, 탈근대성2의 시대 변화에 대처하고, 사회에 영향력을 미치며, 사회를 변화(롬 12:2, metamorphosis)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The thesis of this study is to respond to change in the demodernity era and to influentially transform (Rom 12:2, metamorphosis) the society through (a) the transformation from vertical modernity Christianity in Korea to horizontal Christianity, (b) the development of “the Potluck Christianity,” which realizes the 4G hermeneutics, and (c) the evaluation and development of the Emergent Church with a model of postmodern Church, when the elements of Premodernity, Modernity, and Postmodernity in the sound of Carillons from Sather Tower 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are applied to the Korean Churches. Modernity Christian Church in Korea should enter God’s Incarnational, revelational, and transformational ministry in the demodernity era through the periodic discer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