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3.15.232.244
3.15.232.244
close menu
}
KCI 등재
우정의 정치학
The Politics of friendship
이상형 ( Sang Hyung Lee )
동서철학연구 79권 333-358(26pages)
UCI I410-ECN-0102-2017-150-000083025

자유주의가 강조하는 공적영역에서의 보편적 원칙인 정의와 사적영역에서 주요한 가치인 관용이 오늘날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다. 정의는 형식화되어 실질적인 자유와 평등을 보장하지 못하며 사적인 영역을 지배하는 가치인 관용은 힘의 관계에 의해 지배되곤 한다. 기본적 가치를 공유하지만 일상생활의 사소한 차이를 가진 타인은 관용으로 인정할 수 있지만 다원주의가 심화되는 오늘날 기본적 차이, 즉 정체성을 형성하는 가치인 종교, 문화, 생활방식의 차이를 가진 타인을 만날 때 중심 가치는 이들을 길들이기 시작한다. 한 사회가 안정적이고 통합적이기 위해 중심가치가 이질적인 경우 관용은 정치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다. 즉 관용은 기존의 지배와 권력을 보존하기 위해 차이를 묵인하거나 소수타인을 배제하는 것이다. 따라서 하나의 공동체가 실질적 평등에 기초해 건강한 연대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공동선을 형성하고 이를 이끌어 가는 참여적 삶이 필요하다. 즉 연대성은 사적인 이익과 계산에 휩쓸리지 않고 정치적 우정을 바탕으로 공동선을 함께 고민하는 데서 도달하는 정치적 화합의 상태라고 볼 수 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이런 정치적 연대가 시민적 덕성을 지니고 서로의 삶에 관심을 갖는 시민들에 의해서만 가능하다고 말한다. 따라서 우리에게는 실질적 연대에 도달할 수 있는 시민적 덕을 쌓는 일이 중요하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이 덕이 사회적 관계에서 인간의 덕으로 규정되는 우정이라 말한다. 이 우정이 정치적 관계에 나타날 때 인간은 사회적 동물로서 자신의 본질을 실현할 수 있으며, 폴리스의 연대를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오늘날 정치적 삶의 중요성이 새롭게 강조될 때 민주시민이 가져야 할 가치 또한 우정인 것이다.

Philosophers have long recognized that friendship plays a central role in a meaningful and happy life. Indeed, Aristotle elevated friendship at its best to an ethical ideal, declaring that only good people could be friends in the fullest sense, and that only with such friendship could the virtues be fully exercised. However, at the dawn of the modern state, the beginning of the scientific revolution, the outset of the spread of universal principles of rights and freedoms, and the advent of international truck and trade, friendship as a political concern nearly drops out of sight. Whereas liberalism and its offspring liberal democracy promise the individual liberty, the cost of this liberty is often isolation. However, the equalization in friendship, Arendt argues, means that the friends become partners in a common world . that they together constitute a community. Friendship in a community binds together the citizens of good judgment communicating their mutual judgments on the basis of truthfulness. The crucial point is the ‘political’ understanding friendship. It envisions the existentially engaged participation in the life of community on account of the common reason present in all citizens that signifies the theomorphy of human beings’ humanity. The reflexive politics of friendship is, therefore, in this respect a case study of human nature’s potential for creatively ordering its existence in societal form.

1. 서론
2. 관용의 한계
3. 우정의 가치
4. 우정의 정치학
5.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