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6
18.97.14.86
close menu
Accredited
16~18세기 유럽선교사 동아시아학의 형성 -유교경전에 대한 적응주의의 문화 양분적 해석-
Formation of East Asian Studies by European Missionary in 16~18th centuries -Cultural oppositive interpretation of accommodationism regarding Confucian classics-
전홍석 ( Hong Seok Jeon )
동서철학연구 vol. 79 197-229(33pages)
UCI I410-ECN-0102-2017-150-000083070

‘오리엔탈리즘(Orientalism)’은 서양의 ‘타자 형상’에 대한 담론 분석인 점에서 비교문화 ‘형상학(Imagologie)’ 범주와 겹친다. 그러나 종래 사이드(Edward W. Said)식 동양의 이미지는 서양이 자신의 부정적인 내면을 투사시켜 만들어낸 정체적이고 자신을대변할 수도 없는 열등한 타자에 국한된다. 본고는 16~18세기 내화來華 선교사 연구를 통해 이러한 사이드의 ‘부정적(negative) 오리엔탈리즘’에 조응함과 동시에 상대적으로 간과되어온 ‘긍정적(positive) 오리엔탈리즘’의 발굴을 목표로 기획되었다. 그 내용은 사이드가 주장하는 ‘근대오리엔탈리즘’이 본격화되기 이전 16세기부터 중국에 진출한 유럽선교사의 ‘유교 한문漢文 작품’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그럼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중동의 무슬림오리엔트와 구별되는 동아시아의 ‘중화(유교)오리엔트’ 영역을 확보하고자 했다. 이를테면 ‘중화오리엔탈리즘’의 탄생과 전개 양상을 문화적응주의 제수이트(Jesuit, 예수회원)의 일련의 ‘타자 형상’에 투영된 화문華文 텍스트의 유교 본체 범주, 즉 그들의 유럽 중세 신학체계에 입각한 ‘문화 양분적 해석’과의 상관관계 속에서 다각적으로 이루어졌다. 그것은 문명 외부담론 차원에서 긍정적 오리엔탈리즘 범주의 ‘호혜적 교류 형상 . 진유 고교眞儒古敎’와 부정적 오리엔탈리즘 범주의 ‘배타적 억압 형상 . 속유 이학俗儒理學’으로 집약할 수 있다. 이 ‘양가적 타자 형상’은 다양한 문화적 스펙트럼을 구성하면서 중화오리엔트에서의 ‘천학天學’이 생산되는 하나의 준거틀로 작동했다. 요컨대 이 제반 논증 과정에서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유럽선교사 동아시아학(천학)’의 형성과 그에 따른 동아시아의 다채로운 문화 창신創新의 간-문명(inter-civilization)적 요인들을 규명했다. 아울러 사이드로 대변되는 기존 타자담론의 ‘부정적 형상’ 일면성을 수정ㆍ보완하고 그 반대편에 존재하는 ‘긍정적 의미’를 활성화하여 긍정과 부정을 아우르는 오리엔탈리즘의 보다 폭넓은 지평을 타개하고자 했다.

Orientalism overlaps with category of Imagologie of comparative culture in that it is analysis of discourse regarding others image of West. Image of East argued by Edward W. Said is limited to others who are inferior and stagnant and are unable to represent themselves and West created by projecting its negative inner world.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find out positive orientalism which has been neglected until now by studying missionary who conducted mission work in China in 16~18th centuries. This thesis focused on analyzing confucianism Chinese classics works written by European missionary who entered China prior to 16th century which modern orientalism argued by Edward W. Said did not appear. This thesis is to secure area of sino centered(confucianism) orient of East Asia that is distinguished from muslim orient of Middle East. Birth and development of sino centered orientalism consisted in correlation with cultural oppositive interpretation based on theology system of Middle Ages projected in a series of images of others of Jesuit of accommodationism. This can be integrated as mutual benefit exchange image . Jinyugogyo which belongs to positive orientalism and exclusive exchange image . Sokyuihak which belongs to positive orientalism in terms of civilization external discourse. Above mentioned images of others acted as frame of reference which organizes various cultural spectrum and produces Cheonhak in sino centered orient. This thesis investigated formation of East Asia Studies(Cheonhak) of European missionary and various inter-civilization elements of East Asia. This thesis was to resolve wider prospect of orientalism that embraces affirmation and negation by correcting and supplementing negative image of existing others discourse represented by Edward W. Said and activating positive meaning.

1. 이끄는 말
2. 유럽선교사 동아시아학의 제안
3. 문화 양분적 해석: 중화오리엔탈리즘
4. 끝맺는 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